“제주 하천정비사업 전면 재검토해야..”
상태바
“제주 하천정비사업 전면 재검토해야..”
  • 김태홍 기자
  • 승인 2017.12.07 14:36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제주환경운동연합 성명 “제주 지역에 맞는 하천정비지침 마련” 촉구

 

행정당국에서 추진하는 하천정비가 현재까지도 제주 하천 파괴의 가장 큰 주범이라는 지적이다.

제주환경운동연합은 7일 성명을 통해 “홍수 피해 방지 등 주로 배수개선사업의 일환으로 진행되고 있는 제주도의 하천 정비 사업은 오랫동안 논란이 되어왔던 사안”이라며 “육지부와는 전혀 다른 지질․생태․경관․문화적 가치를 갖고 있는 제주의 건천은 오랫동안 하천정비사업 때문에 원형이 상당부분 사라져 버렸다”고 지적했다.

“제주도는 친환경적 하천정비 지침을 10여 년 전에 발표했지만 여전히 기존의 방식을 크게 벗어나고 있지 못하다. 최근의 서중천 태풍피해 복구사업만 봐도 그렇다”고 지적한 성명은 “서중천은 한라산 동북쪽에 위치한 흙붉은오름에서 발원해 남원읍 신례리를 거쳐 남원리 해안가에 이르는 하천”이라며 “용암수로, 용암제방, 포트홀, 용암폭포, 온갖 기암괴석들이 장관을 이루는 하천이며 바위그늘집 등 선사시대의 유적이 분포하고 있는 곳”이라고 강조했다.

하지만, “최근에 ‘서중천 태풍피해 복구사업’이라는 명분으로 확장사업을 준비하고 있다”며 “예전에도 하천정비를 해 기존 하천의 원형을 크게 바꿔놓았다”며 “그런데, 이후 태풍 ‘차바’때 하천 주변 농경지의 침수피해가 발생했다면서 다시 수많은 혈세259억1천1백만원를 들여 정비 사업을 계획한 것”이라고 지적했다.

성명은 “하천이 갖고 있던 치수 기능을 없애버리는 하천정비를 하고 나서 홍수피해가 나자 또다시 하천을 넓히겠다는 예산낭비 정책을 펼치고 있는 것”이라며 “‘소 잃고 외양간 고치기’를 넘어서 ‘외양간을 없애 놓고 소를 잃어버리는’우매한 행정을 하고 있다”고 지적했다.

성명은 “이번의 정비 구간은 서귀포시 남원읍 남원리~일원리 구간에 총 길이 4.3km에 이른다. 사업 내용도 제방을 쌓고 호안을 정비하는 사업으로서 다리도 15개소를 더 신설해야 하는 3년여의의 큰 공사”라며 “과연 비용 대비 효과가 있는지 전면적인 재검토가 이뤄져야 한다”고 강조했다.

그러면서 “하천정비는 현재까지도 제주 하천 파괴의 가장 큰 주범이다. 그것도 행정당국에서 하고 있는 것이란 점에서 문제가 더 크다”며 “하천정비사업에는 수해상습지 개선, 재해위험지구 정비, 배수개선 사업, 하도 준설, 소하천 정비사업 등이 있다. 대부분 홍수 예방을 위한 사업인 셈”이라고 말했다.

 
하지만 “하천 정비 중 제방 높임공사는 제방의 경사를 급하게 해 하천으로 접근을 어렵게 하고, 하도의 직선화는 하천에 서식하는 생물의 생존을 위협할 뿐만 아니라, 하천의 메마름을 부추겨 하천의 친수성(親水性)을 감소시킨다”며 또한 “포클레인이 하천으로 들어가 작업하면서 수십만 년 동안 형성되어 온 역사․문화성, 종교적 의례, 휴양공간이었던 하천을 대형 하수관으로 만들어 버렸다”면서 “하천 정비 사업으로 그동안 제주의 수많은 아름다운 건천들의 원형이 없어져 버렸다”고 비판했다.

성명은 “제주도당국은 2005년 8월에 긴급회의를 열어 ‘자연친화적 하천정비사업 추진 방침’을 발표했다”면서 “이 방침의 내용에는 ▲자연친화적인 하천정비로 전환 ▲생태계․경관 훼손 최소화 ▲하천정비계획 수립 시, 지역특성을 살리고 설계 시 전문가와 지역주민 의견수렴 등이 포함되어 있다”고 말했다.

하지만 “10여년이 넘은 지금, 이 지침은 거의 유명무실화됐다고 할 수 있다”며 “하상을 건드리지 않는 공법을 하고 있다지만 석축을 쌓기 위해서는 포클레인이 들어갈 수밖에 없고 그 과정에서 제주 하천 고유의 모습은 파괴될 수밖에 없는 것”이라고 주장했다.

 

성명은 “수십만 년간 제주의 하천은 수많은 홍수를 감당하면서 그에 적응해왔다. 그 모습이 지금 제주의 하천의 모습을 만든 것”이라며 “침수피해가 발생하면 그 대책으로 하천정비를 하는 것 보다는 침수되는 하천 주변의 토지를 매입하는 방식이 비용․효율성 면에서 나을 수 있다. 매입 이후에 하천구역을 넓히면 하천의 좁은 면적을 넓히기 위해 하천을 파괴하는 일이 발생하지 않을 것”이라고 말했다.

그러면서 “부득이하게 하천 정비를 해야 한다면 지금의 공법을 완전히 바꿔야 한다. 지금처럼 하천에 포클레인이 들어가는 방식이 아닌 필요한 구역만 정해서, 하천의 원형을 최대한 훼손하지 않는 공법으로 적용해야 한다”고 말했다.

성명은 “옹벽 및 석축건설은 오히려 유속을 증가시키고 세굴(주로 수류나 파랑에 의해 해안, 하상, 제방, 해저 또는 전환수로의 바닥이 침식되는 현상)시에 급격히 붕괴되어 안전사고의 위험이 있으므로 설치를 최대한 지양해야 한다”며 “우리나라 전역에 일관된 하천 정비지침을 따르지 말고 제주도의 지역 특성에 맞는 하천정비지침을 새로 마련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성명은 “육지부의 ‘강’에 적용하는 공법을, 육지부와는 전혀 다른 제주의 ‘건천’에 적용 하다 보니 지금과 같은 문제를 낳았기 때문”이라며 “이를 위해 더 이상 제주하천의 아름다움을 파괴하지 말고 지금의 하천 정비 사업을 전면 재검토해야 한다”고 촉구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0 / 40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주요기사
이슈포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