봄의 전령사 ‘개나리’, 열매는 왜 보기 힘들까?
상태바
봄의 전령사 ‘개나리’, 열매는 왜 보기 힘들까?
  • 고현준 기자
  • 승인 2018.04.11 12:56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흔하고 익숙하더라도 잘못 알려진 사실 바로 알기
 

 산림청 국립수목원(원장 이유미)은 11일 한반도 특산식물인 ‘개나리’에 대해 일부 잘못 알려진 사실을 바로잡는 데 도움을 주는 설명 자료를 배포했다.
  ‘개나리’의 학명은 Forsythia koreana (Rehder) Nakai이며, 영명은 Gae-na-ri이다.

 식물의 실체를 이해하기 위해서는 학명이 정해진 과정을 알면 쉽다. 하나의 학명에는 역사와 이야기, 식물종을 바라보는 여러 가지 관점을 엿볼 수 있기 때문이다.
   ‘개나리’의 학명 Forsythia koreana (Rehder) Nakai에는 먼저 괄호 안에 미국인 레더(Alfred Rehder), 그리고 맨 뒤에 일본인 나카이(Nakai)까지 두 명의 외국 식물학자가 등장한다.

이것은 레더가 먼저 학명을 제안했고, 이후 나카이가 학명을 수정했다는 뜻이다.
 
개나리는 구상나무 명명자로 잘 알려져 있는 미국 아놀드 수목원의 한국 채집 담당 윌슨(Ernest H. Wilson)이 한반도에서 심어 기르던 개체를 수집하여 미국에 들여온 것으로 알려져 있다.

미국 아놀드 수목원의 레더는 윌슨의 수많은 채집품 중 하나인 개나리를 키워보니 동북아시아 내륙(중국)에서 자라는 ‘의성개나리(Forsythia viridissima Lindley)’와 유사하여 그것의 변종(Forsythia viridissima Lindley var. koreana Rehder)으로 1924년 명명했다. 


 레더가 명명한 1924년에 앞서, 나카이는 이미 1923년 미국 아놀드 수목원을 방문하여 레더, 윌슨과 함께 한반도의 개나리에 대한 의견을 교환했다.

이후 1924년 레더는 한반도 특산식물이며 의성개나리의 변종으로서 ‘개나리’의 학명을 제안했으나, 그 후 1926년 나카이는 “한반도의 개나리는 개나리류 중에서 가장 매력적인 식물이다.”라고 표현하며 변종이 아닌 종으로서 한반도 특산식물 개나리의 학명을 Forsythia koreana (Rehder) Nakai로 제안했다.


 한국에서는 대부분 나카이의 제안을 수용하여 ‘Forsythia koreana (Rehder) Nakai’라는 학명을 쓰고 한반도 특산식물로 다루고 있다.

각 지역에서 수집한 다양한 개나리류를 관찰할 수 있었던 아놀드 수목원 레더의 시각을 존중한다면 개나리의 학명은 달라질 수 있지만 한반도 특산식물인 것은 변함이 없다.

한반도에는 ‘만리화’, ‘산개나리’, ‘개나리’ 등의 개나리류가 기록되어 있는데 특이하게도 모두 한반도 특산식물이다.

개나리류는 한국, 중국, 그리고 일본을 포함하는 동북아시아에서 아주 오래 전부터 심어 길러온 중요한 식물이다.


 동북아시아 내륙에 자생하는 의성개나리와 당개나리(Forsythia suspensa (Thunb.) Vahl)는 각각 일본과 중국의 정원에서 심어 기르던 개체들로부터 학명이 명명되어 지금까지 이어지고 있으며, 이 두 종은 현재 거의 모든 개나리 품종의 조상종으로 알려져 있다.

특히 중국 지역에 자라는 의성개나리는 1700년대 말 일본의 정원에서 키우던 개나리류를 기록한 것으로서, 과거에도 이미 개나리류들의 많은 품종이 존재했고 동북아시아 전체적으로 재배품 또는 원종의 교류가 많이 있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한반도에 자생하는 개나리와 만리화 모두 아주 오랫동안 일본에서 길러온 것으로 추정하는 기록이 존재한다. 


  한반도의 개나리는 높이가 3m 이상 자라는 큰 관목으로 기록되어 있는데, 가지를 쳐 작게 기르는 현재와는 달리 과거엔 크게 키운 개체들도 있었다고 추정된다.

김천 직지사에는 높이 3m 수준의 개나리들이 여러 개체 있는데, 수령이 200년 된 큰 개나리가 있었지만 얼마 전 죽어 현재는 없다.


 개나리는 암수딴그루인가? 일부 식물도감에서 개나리를 암수딴그루로 표현하고 있지만, 이것은 일본 도감에서 따 온 내용이 그대로 유지되면서 잘못 알려진 사실이다.

개나리의 꽃은 작동하는 암술과 수술이 모두 존재하는 양성화이다. 개나리류가 가장 많이 분포하는 중국에서 개나리류는 양성화로 기록되어 있다. 다만, 개나리는 암술이 긴 꽃(장주화)과 짧은 꽃(단주화)의, 즉, 암술의 길이가 다른 두 가지 형태의 꽃을 갖고 있는 식물이다.


 개나리를 왜 암수딴그루로 기록하고 있을까? 한 종의 식물이 여러 가지 형태의 꽃을 나타내는 것은 근친교배 확률을 감소시키려는 진화적 경향성이다.

개나리 역시 두 가지 형태의 꽃을 통해 그러한 경향성을 나타내는 식물이다. 많은 식물들이 그렇듯, 개나리는 서로 다른 형태의 개체와 화분을 주고받는 것을 선호하므로 상대적인 암수딴그루 개념이 발생할 수도 있지만 원래 암수딴그루의 의미와는 거리가 멀다. 


  개나리 열매는 왜 보기 어려울까? 우리가 심어서 봄에 꽃을 감상하는 대부분의 개나리는 암술이 짧은 꽃을 가진 개체들로만 이루어져 있기 때문에 열매를 관찰하기 어렵다.

개나리는 두 가지 형태의 꽃을 가진 식물로서, 두 형태의 꽃들이 서로 가까이 존재해야 화분 매개 동물들의 활동에 의해 타가수분이 활발해 진다.

물론 동일한 형태의 꽃을 가진 개나리 개체들 사이에서 역시 수정은 일어날 수 있지만 매우 드문 현상으로 알려져 있다. 자연에서는 예외적인 경우가 항상 발생한다.


 개나리는 왜 암술이 짧은 개체들이 많을까? 개나리의 서로 다른 꽃들이 고유의 개화 특성을 가지고 있기 때문이다.

일반적으로 관찰되는 개나리는 거의 암술이 짧은 꽃이다. 암술이 짧은 개나리 꽃이 더 크고, 색깔도 진해서 아름다우며, 개화시기도 빠르다.

다만, 개나리의 암술이 긴 꽃은 암술이 짧은 꽃보다 늦게 지기 때문에 두 형태 사이의 전체적인 개화 기간에는 별다른 차이가 없다.

그리고 개나리는 수정 후 즉시 꽃을 떨어뜨리기 때문에 아름다운 봄꽃을 오랫동안 감상하려는 의도에서 우리 주변에는 암술이 짧은 꽃을 가진 개나리를 주로 심고 있다.
 
이유미 국립수목원장은 “자연자원의 확보가 중요한 시대에서 한반도 특산식물로 분류하고 있는 개나리와 같은 유용한 식물자원을 잘 보전하고 활용하는 일은 아무리 강조해도 지나치지 않는다.”며, “이에 무엇보다 중요한 것은 한반도 내의 중요한 식물들의 실체를 파악하기 위한 끊임없는 노력일 것"이라고 강조했다. 


 아울러, 상대적으로 단순한 형태적 변이를 가진 재배 또는 원예 식물에서 시작된 개나리류의 기재는 이후 변이가 많은 자생 개체들을 탐사하고 발견하기 시작하면서 종의 실체에 대한 많은 혼란을 발생시켰지만, 역설적으로 식물종의 역사와 실체, 생태적 역할을 세밀하고 객관적으로 구성하는 연구도 중요한 과정이라고 덧붙였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0 / 40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주요기사
이슈포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