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구 온난화, 온실가스..‘제로에너지 하우스’가 해답”
상태바
“지구 온난화, 온실가스..‘제로에너지 하우스’가 해답”
  • 김태홍 기자
  • 승인 2018.12.12 15:12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김이택 경제일자리과장 “공공건축물 대상 ‘패시브하우스’ 접목 건축물 조성 ”
국토부, “제로에너지건축 활성화 이어지도록 노력”밝혀
 

제주시가 자연과 사람이 모두 행복한 ‘제로에너지 하우스’ 조성에 부단한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

‘제로에너지 하우스‘란 소비하는 에너지와 자체적으로 발전하는 에너지를 합산해 에너지 소비량이 최종적으로 ‘0(Net Zero)’이 되는 집을 의미한다. 이는 소비하는 에너지를 줄여주는 ‘패시브 하우스‘와 에너지를 만들어내는 ‘액티브 하우스‘가 합쳐져 가능한 개념이다.

패시브 하우스(Passive house)는 고단열∙고효율 제품을 사용해 외부로 새어나가는 에너지를 차단하는 집. 건축자재가 중요한 역할을 한다.

액티브 하우스(Active house)는 태양열이나 지열, 풍력 등 친환경적인 방법으로 스스로 에너지를 생산하는 집이다.

제주의 경우 전체 에너지의 31%가 건물에서 소비되고 있으며 이는 갈수록 증가하는 추세다(2016년 지역에너지 통계연보).

따라서 제로에너지 하우스를 통해 냉·난방, 온수, 조명, 환기에 쓰이는 5대 에너지를 비용 부담 없이 해결할 수 있으며, 탄소 배출량도 줄일 수 있다.

 

국토교통부는 2025년까지 제로에너지 건축물 의무화를 선언하고 2017년 1월 제로에너지 건축물 인증제를 시행했다. 2030년까지 민간과 공공의 모든 건축물에 제로에너지 건축물 인증을 의무화해 건축물 부분에서 온실가스 3,580만 톤을 감축한다.

-국토부 제로에너지건축, 채권·특화 청약통장·대출 규제 완화 등 아이디어 선정

국토교통부(장관 김현미)는 지난 7월 ‘제로에너지건축 비즈니스모델 아이디어 공모전’ 을 통해  다양한 아이디어를 선정했다.

최우수상에는 제로에너지건축을 위한 특수목적채권을 발행, 민간 자본을 활용할 것을 제안한 아이디어가 선정됐다.

우수상에는 청약기금과 전력거래시장 수익금을 제로에너지주택 건설자금으로 활용, 건축물 패시브요소·액티브요소의 특성에 따라 대중투자(크라우드 펀딩)·대출규제 완화 등 차별화된 혜택 적용을 제안한 아이디어가 선정됐다.

장려상에는 제로에너지 주택청약 상품을 판매해 조성된 자금을 제로에너지건축 지원 사업의 운영자금으로 활용, 제로에너지건축물 예비인증을 받은 주택에 한해 대출 규제를 완화가 선정됐다.

국토부 관계자는 “수상작 뿐 아니라 제안해준 모든 내용 중 반짝이는 아이디어를 놓치지 않고 구체적으로 잘 검토해 실제 제로에너지건축 활성화로 이어지도록 노력하겠다.”고 밝혔다.

따라서 내년부터는 제로에너지 건축시 공공기관은 물론 일반에게도 인센티브가 반영될지 귀추가 주목된다.

 

이에 따라 제주시는 ‘탄소 없는 제주 2030’ 달성을 위해 제로에너지 하우스 조성 계획을 수립하고 2019년부터 신축이나 개보수를 하는 모든 공공 건축물을 제로에너지 건물로 만들기 위해 부단한 노력을 기하고 있다.

특히 원도심 도시재생뉴딜과 연계, 주민센터, 마을회관, 경로당 등 공공건축물의 제로에너지 리모델링과 태양광, 풍력 등 신재생 에너지원 설치를 지원한다. 체육시설, 도서관 등 지역 밀착형 생활 SOC도 제로에너지 하우스로 짓는다.

시는 그 첫 번째로 노형동 원노형 2길 33-6번지에 사업비 15억원을 투입해 원노형 경로당을 리모델링과 지상4층 증축에 나서며, 또 서광로 3길 45번지에 사업비 8억9000만원을 투입해 지상 3층 규모의 남사경로당 신축에 나선다. 이 두 곳 경로당은 2019년 12월 준공목표다.

김이택 제주시 경제일자리과장

김이택 제주시 경제일자리과장은 “제주시가 제로에너지 하우스에서 시작해서 제로에너지 스마트 단지로, 제로에너지 스마트 커뮤니티로 발전해서 제로에너지 스마트 도시가 된다면 청정 제주의 자연과 사람이 모두 행복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김 과장은 “앞으로 내년에 신축하는 한림읍과 애월읍사무소 등 공공건축물 대상으로 ‘패시브하우스’를 접목한 건축물 조성에 나선다”고 덧붙였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0 / 40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주요기사
이슈포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