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주에 2개 공항 필요 없다..‘제2의 4대강’ 제2공항 철회하라”
상태바
“제주에 2개 공항 필요 없다..‘제2의 4대강’ 제2공항 철회하라”
  • 김태홍
  • 승인 2019.05.14 11:28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제주2공항반대위 “국토부 ADPi 보고서 폐기, 이유 있었다”

문제의 제주 제2공항 ADPi 보고서가 수면 위로 인양됐다.

제주제2공항성산읍반대대책위원회와 제주제2공항반대범도민행동은 14일 오전 도민의 방에서 기자회견을 갖고 “국토부가 그토록 가라앉히려던 진실의 단서가 떠오른 것”이라며 “㈜유신이 이메일을 통해 ADPi사에 보고서의 재제출을 요구해서 간단히 받을 수 있었던 것을 왜 그동안 반년이 넘도록 대한민국의 정부기관이 찾지 못했을까? ”라고 했다.

그러면서 “ADPi 보고서를 ‘보지 못했다’에서 ‘없다’로 바뀌고 결국 ‘폐기했다’는 국토부의 어이없는 변명은 모두 이유가 있었다”고 비판했다.

반대위은 “ADPi는 ‘현 제주 공항의 교차활주로를 개선하면 2035년에 정점을 이루는 것으로 예측한 제주공항의 항공수요를 충족할 수 있다고 확신’했다”며 “자신들이 제안한 권장사항이 대부분 시행되면 제주공항이 2035년까지 예상되는 항공교통 증가에 대처할 수 있다고 확신한 것이다. 결국 국토부는 필요도 없는 제2공항을 건설하기 위해 자신이 과제로 부여한 ‘현 공항 활용 극대화 방안’을 은폐한 것”이라며 맹공을 퍼부었다.

이어 “국토부가 항공대 용역진을 내세워 제주도민과 제주언론을 기망하고 있지만 제주공항 활용방안을 연구한 ADPi의 결론은 명확하다”며 원색적인 비난을 가했다.

그러면서 “ADPi는 국토부가 제시한 2035년 제주의 항공수요(여객 4560만명, 29.9만회 운항)를 전제로 이를 충족할 수 있는 방안을 검토했다”며 “이 수치는 사실 2045년 수치이지만 2035년도와 차이가 거의 없다”고 지적했다.

반대위는 “ADPi는 이 수요를 충족할 수 있는 대안으로 현 제주공항 보조활주로의 활용을 제안했다. 연장하지도 않고 그대로 이용하면 된다는 것”이라며 “ADPi는 보고서 결론의 옵션 3에서 ‘불과 몇 년 동안의 운영을 위해 새로운 활주로를 건설하는 것은 막대한 비용이 소요되는 과제이나 보조 활주로의 재활성화 및 교차 활주로의 결합 운용은 관제부문의 일부 도전적인 측면에도 불구하고, 2035년 경 까지 필요한 용량을 제공하는 훨씬 저렴한 대안이 될 수 있다’고 명시했다”고 말했다.

이어 “ADPi는 이 제안이 ‘이 권고안은 현실적이고 실용적(realistic and pragmatic)이며 단기/ 중기적으로, 승객의 교통량이 최대치에 도달하는 2035년 까지 용량을 확보할 수 있다.’고 덧붙였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ADPi는 제주공항의 여러 제약점을 고려하면서도 자신들이 제안한 몇 가지 개선안을 실행하면 최소한의 지속가능한 성과로서 시간당 60회 운항이 가능함을 분명히 했다”며 “‘대부분의 권장사항이 이행된다면, ADPI는 제주공항이 2035년까지 예상되는 교통 증가에 대처할 수 있다고 확신한다’고 했다”는 것.

반대위는 “ADPi는 보조활주로의 재가동과 기존 활주로에 대한 결합 운용에 대한 고려가 필요하다고 명시했다”며 “그리고 대용량을 제공하는 교차 활주로 시스템의 비교 가능한 예로 75 ATM/h 의 높은 용량을 가지고 있는 뉴욕의 라과디아 공항사례를 지적하며 지속가능한 용량을 구체적으로 60회로 제시했다”고 말했다.

이어 “ADPI는 짧은 활주로에서의 운용으로 인한 안전 문제를 알고 있다. 그러나 이것은 미국과 같은 다른 나라에서 오히려 현재 실행 중”이라며 “활주로 말단 안전지역 (RESA)의 부족은 치명적인 활주로 오버런을 방지하는 어레스터 베드(arrestor bed) EMAS 유형의 설치로 인해 보완된다. 원칙적으로, 이러한 활주로 시스템은 최소 투자비용이 들며 도착-도착에 4.5 NM 간격으로 약 62 ATM/h를 제공할 수 있다.... 지속가능한 용량은 60 ATM/h 으로 낮아질 것”이라고 주장했다.

반대위는 “옵션 1과 2와 마찬가지로 이 용량증가는 새로운 인프라, 새로운 제어 절차 및 도구의 새로운 단계뿐만 아니라 관제사 및 조종사의 적절한 훈련에 대한 유효성 확인 후 작은 증대로 달성된다. 더욱이 단일 활주로의 용량이 부족해지는 2020년 이전에는 교차 활주로 운용을 완성된 실행으로 할 필요가 없다.”고 했다.

반대위는 “시간당 60회면 미연방공청(FAA) 표준용량을 기준으로 할 때 연간 283,500회 운항이다. 이 용량은 한계용량이 아니”라며 “관제시스템 등의 개선으로 증가하고 있다. FAA 자료에 보면 미국 각 공항별로 슬롯을 늘리는 작업이 계속 진행되고 있다”고 말했다.

이어 “시간당 60회, 연간 28만3,500회를 지금의 회당 평균탑승객 수(지난 5년간 평균) 170명을 기준으로 계산하면 연간 이용객이 무려 4800만명이 넘는다. 지금까지 나온 모든 장기 수요예측치를 훨씬 넘는 숫자”라고 말했다.

반대위는 “제주도의 환경.사회적 수용력을 감안한 적정 규모를 고려한다면 그런 규모는 생각할 필요도 없는 숫자다. 지금도 과잉관광이지만, 설령 연간 관광객을 최대 2천만 명까지 잡는다고 해도 연간 공항 이용객 수는 대략 4천만 명 정도”라며 “기획재정부의 예비타당성에서 언급한 수요도 이 수준이며 국토부의 기본계획에서 제시한 2045년 항공여객수요 3,890만보다 적다. 4천만 명을 수용하는 데는 연간 23만5,300회, 시간당 50회만 운항하면 충분하다”고 강조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0 / 40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주요기사
이슈포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