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불지역 소나무, ‘리지나뿌리썩음병’ 주의
상태바
산불지역 소나무, ‘리지나뿌리썩음병’ 주의
  • 고현준
  • 승인 2019.06.14 17:14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산림과학원, 소나무 피해주는 ‘리지나뿌리썩음병’, 토양미생물 회복하면 사라져

 

 

 

올해 강원도 고성과 강릉을 비롯하여 매년 크고 작은 산불이 전국 각지에서 발생하고 있는 가운데, 제주에서도 크고 작은 산불로 수십년간 소중히 가꾸어 온 숲이 잿더미가 되는 경우가 늘고 있다.

특히 산불이 발생한 지역이나  송이버섯 산지의 경우, 소나무를 재조림하는 경우가 많지만 이때 주의해야할 병해가 리지나 운둘라타(Rhizina undulata)라는 곰팡이 병원균에 의해 발생하는 ‘리지나뿌리썩음병’이다.

 ‘리지나뿌리썩음병’은 국내에서는 소나무, 곰솔, 일본잎갈나무의 뿌리가 곰팡이 병원균에 감염되어 고사되는 형태로 나타난다고 한다.

병원균은 포자 상태로 토양 중에 존재하다가 토양 중의 온도가 높은 온도로 유지되었을 때(40℃ 이상) 포자에서 발아하여 생장하기 때문에 산불, 쓰레기 매립·소각 지역에서 주로 발생되며, 파상땅해파리버섯을 만들어 번식한다는 것.

이 병원균은 다른 미생물이 고온의 열로 인해 사멸한 무주공산(無主空山)에 증식하여 주변에 생존된 다른 소나무와 곰솔에 감염되어 죽게 만든다.

현재까지 국내,외에서 토양 병해의 특성상 방제법 개발이 어렵기 때문에 병의 예방이나 방제 약제는 개발된 것이 없고, 감염된 나무를 제거하는 수준에 그치고 있다는 분석이다.

14일 산림청 국립산림과학원(원장 전범권)은 연구에 따르면 ‘리지나뿌리썩음병’의 병원균은 다른 토양미생물이 나타나면 약해지고, 시간이 지나면 자동적으로 소멸한다. 소멸 이후에는 다시 포자상태로 토양에 머무는 것으로 확인됐다고 밝혔다.

따라서 현재 소나무와 곰솔을 재조림하여 산림을 복원하기 전, 다른 토양미생물이 복원되는 시기를 기다려 리지나뿌리썩음병균의 피해를 최소화해야 한다고 덧붙였다.

산림과학원은 현재 산불이 난 각 지역들의 산림복원에 앞서 다른 토양미생물들이 회복되는 시기를 조사하고 있다.

국립산림과학원 이상현 과장은 “리지나뿌리썩음병의 예방을 위해서는 소나무와 곰솔이 있는 숲 근처에서 불을 피우는 행위를 하면 안 된다”며 “향후 산불지역에 소나무를 재조림하는 시기를 명확히 하여 리지나뿌리썩음병 피해를 최소화할 수 있도록 최선을 다 하겠다”고 말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0 / 40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주요기사
이슈포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