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두 하수처리장 집약화, 통구조로 만들면 부지가 남는다고(?).."
상태바
"도두 하수처리장 집약화, 통구조로 만들면 부지가 남는다고(?).."
  • 고현준
  • 승인 2019.11.06 16:18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환경포커스)제주 공공하수처리시설 현대화사업 어디까지 왔나 알아보니..

 

제주 공공하수처리시설 현대화사업 어디까지 진척되고 있을까.

제주도의 인구증가와 각종 개발계획 등 하수량의 지속적 증가와 시설 노후화에 따른 수질기준 초과 및 악취문제 해결을 위해 기존 제주하수처리장에 대한 공공하수처리시설 현대화사업이 진행중이다.

하지만 공사는 오는 2021년부터 시작돼 2025년에 완공될 예정이라 이 공사 시작점에 대한 궁금증이 많아지고 있다.

제주도가 지난 9월 고시한 제주 공공하수처리시설 현대화사업 기본계획에 따르면 공사는 오는 2021년 7월 부터 2025년 12월까지 총 3,886억원(추정)의 사업비를 투입, 완공할 예정이다.

이 제주 공공하수처리시설 현대화 계획에는 22만m3/일(기존13만, 증설9만) 방류관로 1.5㎞ 증설이 포함된다.

제주도는 기대효과로 제주 공공하수처리시설 현대화를 통해 수질환경 개선 및 사회기반시설 확보로 지역개발 활성화를 도모하고 상부공원 조성 등 주민친화시설을 조성하여 지역주민 편익시설 제공한다고 제시하고 있다.

제주특별자치도 공공하수처리시설 현대화사업추진단 송용탁 총괄팀장은 “공사기간이 이렇게 장기간이 소요되는 이유는 대형공사 입찰방법 심의에 따라 수행하기 때문”이라고 설명했다.

송 팀장은 “이 기간 중 용역이나 전략환경영향평가 대형입찰공사방법 심의 등 행정절차 이행을 하게 된다”며 “턴키방식 시설공사의 경우 다시 세부 기본계획과 입찰안내서 작성 용역 등 이 절차만 8개월 정도가 걸린다”고 밝혔다.

“이같은 대형공사는 계약절차만 해도 시간이 많이 걸려 대개의 경우 이 절차기간은 2년 정도가 소요된다”고 설명했다.

송 팀장은 “대형입찰공사방법 심의에 대해 건설기술진흥법상 대규모 공사의 경우 일정규모 이상 발주하려면 건설 기술 심의를 받게 되는데 공사 특성상 공공하수처리같은 고난이도 플랜트 사업의 경우는 법적으로 발주처에서 제시한 안에 대해 심의를 하게 된다”고 밝혔다.

“도에서 심의하는 이 플랜트 사업에 대한 심의의 경우 심의위원들도 가능한 한 제주지역 실정을 잘 하는 지역 전문가들로 구성, 제주도의 현실을 반영하고 요청사항도 반영토록 해 나갈 계획”이라고 밝혔다.

예산의 경우는 올해 도비 34억원을 투입하지만 2020년에는 국비 10억원이 지원돼 용역 등 절차이행을 하게 되고 2021년부터 본격적으로 국비가 투입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이 현대화시설 완공후 관리에 대한 논의도 계속중인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제주특별자치도 상하수도본부에는 올 1월 발족한 현대화사업 추진단(단장 김영호)이 이를 총괄하고 있다.

다만 앞으로 제주환경시설공단이 설립되면 시설관리는 앞으로 만들어질 공단에서 맡게 될 예정이지만 그 구체적인 실무 세부사항은 논의가 안된 상태라고 한다.

다만 이 현대화 시설은 단계적으로 만들어질 것이기 때문에 완공된 후에 관리가 공단으로 넘어가는게 타당하다는 실무자 의견만 전한 상태인 것으로 알려졌다.

송 팀장은 이에 대해서도 “2025년에 공사가 끝나면 바로 시공사가 하자 문제 등 의무운영기간 2년을 둘 것”이라며 “하자 문제 등 이 의무기간이 지난 후에 공단에서 인수받아 관리를 하는 것이 좋을 것 같다는 의견을 교환 중”이라고 말했다.

그러나 "궁금한 것은 앞으로 늘어날 인구유입 등에 대해서도 1일 22만톤 처리로 충분하겠느냐“는 중금증이다.

이에 대해 송 팀장은 ”하수처리 현대화 시설에 대한 예비타당성에 대한 면제는 받았지만 기재부에서 이 사업이 적정한 규모인가에 사업물량 및 예산에 대한 사업이 적정한 것인지에 대해 3월부터 8월까지 받았다“고 전했다.

이는 예비타당당 검토에 준하는 사업적정성에 대한 조사를 받았던 것으로 이때 KDI에서는 ”향후 인구산정을 너무 과하게 잡았다며 원래 물량을 줄이려고 했었다“는 뒷얘기도 전했다.

제주도의 경우 2025년 까지 인구추이 등을 볼 때 22만톤이 적정하다는 점을 강조, 기재부와 KDI를 설득해서 원안대로 승인받았다는 것.

송 팀장은 다만 ”2018년도에 광역하수도 정비기본계획 변경하면서 이에 대해 충분히 검토한 사항“이라며 ”하수시설은 인구증가에 대한 산정이 가장 중요한데 인구 이상을 하게 되면 환경부가 승인을 안해 줘 이 문제만 해도 20번 이상 환경부를 찾아가 설득시킨 결과“라고 덧붙였다.

송 팀장은 ”도민들이 걱정하는 이 부분에 대해서는 내년에 광역하수도정비계획을 재정비하는 기간이 도래하기 때문에 2018년도를 기준으로 다시 광역하수도정비계획을 변경할 예정이라 이런 부족한 문제를 다 반영하게 될 것“이라고 강조했다.

이 정비계획 변경과정에 인구증가와 개발계획이 원활하게 추진되면 그 계획은 2025년 이후 계획에 반영하게 된다는 얘기다.

지금은 도두하수처리장에 여유부지가 없지만 하수도시설 현대화계획이 완료되면 현재 부지에 3분의 1이 여유가 있게 된다는 점도 새롭게 알려졌다.

송용탁 팀장은 ”현재는 평면 확장형으로 새로 만들어지는 시설마다 면적을 차지하지만 앞으로 시설을 현대화하여 집약화하면 통구조로 만들어지면서 기술도 발전돼 있어 시설물이 적어지게 돼 여유부지가 만들어져 시설을 늘리는 데도 문제가 없다“고 밝혔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0 / 40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주요기사
이슈포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