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나무벌, 참닻꽃 등 1,801종 우리나라 자생종, 새로 등록.."
상태바
"한국나무벌, 참닻꽃 등 1,801종 우리나라 자생종, 새로 등록.."
  • 고현준
  • 승인 2020.02.27 14:46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국립생물자원관 2019년 말 기준 국가생물종목록 등록 자생종 총 5만 2,628종 발표

 

 

참닻꽃(신종)

 

한국나무벌, 참닻꽃 등 1,801종의 우리나라 자생종으로새로 등록됐다.

환경부 소속 국립생물자원관(관장 배연재)은 28일 2019년 12월 말 기준으로 국가생물종목록에 등록된 생물 종수가 5만 2,628종이라고 밝혔다.

국립생물자원관은 지난 1996년 이후 매년 국가생물자원 종합목록 사업을 통해 우리나라에 살고 있

조선흑삼릉(미기록종)

 

는 자생종을 기록하고 있다.

우리나라에는 약 10만 여종의 생물이 사는 것으로 추정되고 있으며, 1996년 2만 8,462종을 처음 집계한 이래 지금까지 5만 2천종 이상이 기록됐다.

그 추이는 1996년 28,462종, 2008년 33,253종, 2018년 50,827종, 2019년 52,628종 등이다.

한국나무벌(신종)

 

국립생물자원관에 따르면 지난 2019년 한 해 동안 한국나무벌, 참닻꽃, 꼬마휜횡극모충 등 466종의 신종을 비롯해 조선흑삼릉, 적갈색따오기, 동공날씬이갯민숭이붙이, 함평매부리 등의 미기록종을 포함하여 총 1,801종이 새롭게 추가된 것으로 나타났다.

지금까지 국가생물종목록에 기록된 생물은 척추동물 2,009종(포유류 125종 등), 무척추동물 2만 8,666종(곤충 1만 8,638종 등), 조류(藻類) 6,158종, 식물 5,517종, 균류 및 지의류 5,421종, 원생동물 2,018종, 세균 2,839종 등으로 구성돼 있다.

적갈색따오기(미기록종)

 

특히, 신종인 황줄꽃무지(Mawenzhena koreana), 유로말루스 코레아누스(Eulomalus koreanus), 트리코더마 코리아눔(Trichoderma koreanum) 등은 학명에 ‘코리아(korea)’를 넣어서 생물주권을 강조했다.

또한 지난 2012년부터 멸종위기 야생생물 II급으로 관리되던 ‘닻꽃’은 지난해 5월 유전자

함평매부리(미기록종)

 

(DNA) 분석 결과, 우리나라에만 분포하는 신종으로 밝혀져 ‘참닻꽃’으로 종명이 변경됐다.

참닻꽃은 용담과 한두해살이 식물로 우리나라에만 서식하며, 기존 명칭으로 불리던 닻꽃은 중국, 러시아, 몽골, 중국, 일본 등에도 분포하고 있다.

지금까지 국내 분포 여부가 불확실했던 조선흑삼릉 등 9종의 식물들도 우리나라 고유종으로 밝혀졌다.

국립생물자원관은 “자체사업을 통해 매년 찾아낸 신종, 미기록종뿐만 아니라 국내외에서 우리나라에 서식한다고 발표된 자료들을 조사해 국가생물종목록으로 관리하고 있다”고 밝혔다.

“지금까지 ‘자생생물 조사·발굴 연구’ 등 중점 연구사업에 참여한 학계 분류학 연구자들의 노력으로 최근에는 매년 1,800여 종의 신종, 미기록종이 국가생물종목록에 꾸준히 추가되고 있다”는 것.

또한 공신력을 높이기 위해 유관기관 및 학계와 긴밀하게 협업하고 있다고 밝혔다.

지난해에는 6개 학술단체와 공동으로 ‘국가생물종목록집 I~III’을 발간했고, 문헌 조사를 통해 북한지역 종목록도 단계적으로 출간하고 있다.

6개 학술단체는 한국균학회, 한국미생물학회, 한국동물분류학회, 한국패류학회, 한국곤충학회, 한국응용곤충학회 등이다.

한편 이번에 갱신된 국가생물종목록은 ‘국가생물다양성 정보 공유체계(kbr.go.kr)’와 '한반도의 생물다양성(species.nibr.go.kr)' 누리집에서 2월 말부터 파일 형태로 내려받을 수 있다.

배연재 국립생물자원관장은 “나고야의정서 등 국제협약에 따라 자국의 생물자원 확보 경쟁이 점점 치열해지고 있는 시점에 국가생물종목록 구축은 우리나라의 생물주권 확보와 향후 생물자원 이용 지원에 가장 기초적인 자료가 될 것”이라고 말했다.

 

 

 

국가생물종목록 구축현황

1. 분류군별 생물종 수 현황(201912월말 기준)

대분류군

소분류군

종 수

대분류군

소분류군

종 수

동 물

(30,675)

척추

동물

(2,009)

포유류

125

균류

/지의류

(5,421)

균류

4,288

조류(鳥類)

537

지의류

1,133

양서류

21

식 물

(5,517)

단자엽식물

1,118

쌍자엽식물

3,104

파충류

32

나자식물

54

양치식물

300

어 류

1,294

선태류

941

무척추

동물

(28,666)

극피

218

두문

22

조류(藻類)

(6,158)

녹조류

812

윤조류

956

모악

41

연체

1,938

홍조류

641

돌말류

2,174

해면

387

환형

658

와편모조류

442

자포

389

완보

71

은편모조류

15

대롱편모조류

378

편형

210

선형

578

착편모조류

7

윤형

305

복모

48

황적조류

2

유글레나조류

354

구두

3

유선형

7

남조류

377

내항

1

유형

3

원생동물

(2,018)

점액포자충류

2,018

태형

212

유즐

11

정복합포자충류

육질충류

완족

9

추형

1

섬모충류

성구

8

미삭

128

절지

동물

곤충

18,638

세균

(2,839)

세균류

2,821

곤충제외

4,780

고세균류

18

52,628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0 / 40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주요기사
이슈포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