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주, 바다 갯녹음 면적 해마다 증가..양식장도 오염물질 배출지역 지정해야”
상태바
“제주, 바다 갯녹음 면적 해마다 증가..양식장도 오염물질 배출지역 지정해야”
  • 김태홍
  • 승인 2020.10.27 12:53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제주도 해역 1만5,323.8ha의 5,102.9ha에서 갯녹음 진행’

제주도가 양돈장 지역을 ‘악취관리지역’으로 지정해 운영되고 있는 가운데 바다 갯녹음(바다사막화)현상이 심한 인근 양식장도 ‘오염물질 배출지역’으로 지정해야 한다는 목소리가 크다.

한국수산자원관리공단 자료에 따르면, 2019년 기준 조사대상면적 총 3만7,563.4ha 중 33.6%인 1만2,728.5ha 암반에서 갯녹음이 진행되고 있는 것으로 조사됐다.

제주도 해역은 1만5,323.8ha의 33.3%인 5,102.9ha에서 갯녹음이 진행 중이다.

갯녹음의 발생 원인은 ▲성게, 초식성어류 등의 과도한 먹이활동 ▲해안 개발, 오염 등에 의한 인위적 요인 등이다.

이처럼 청정 제주바다가 총체적 환경위험에 빠져 날이 갈수록 황폐화되고 있으나 바다오염에 대한 오염원관리는 제대로 되고 있지 않고 있다는 지적이 일고 있는 가운데 양식장이 있는 곳과 없는 지역의 바다생태 환경은 극명한 차이를 보이고 있는 것으로 나타나면서 양식장에서 배출되는 배출수로 갯녹음 현상이 빠르게 진행되고 있는 게 아니냐는 지적을 받고 있다.

특히 갯녹음 현상으로 어민들의 피해도 커지고 있어 행정에서는 인공어초 등을 추진하고 있지만 오염물질이 계속 유입되는 곳에는 무의미하다는 지적으로 해결책 마련은 요원한 상황이다.

갯녹음 현상이 발생하면 해조류가 사라지게 되고 해양생물은 서식지를 잃게 돼 어민들의 소득 감소로 이어지게 된다.

암반지대가 하얗게 변해버리는 갯녹음은 바다를 황폐화시켜 해당 지역의 어획량을 40% 이상 감소시키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전문가들은 “인공어초 및 어초어장 관리사업 등을 추진하고 있지만 오염물질이 계속 유입되는 곳에는 아무리 인공어초를 설치해놓아도 갯녹음이 해결되지 못해 밑 빠진 독에 물 붓기에 불과하다”는 지적이다.

따라서 제주도가 양돈악취가 심한 지역을 악취지정 지구로 지정해 운영되고 있는 가운데 양식장 지역도 ‘오염물질 배출 지역’지구지정을 통해 특단의 대책을 마련해야 한다는 지적이 설득력을 얻고 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0 / 40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주요기사
이슈포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