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향토문화] 탐라국 시대 '건들개'..건입동 건입포(산지포)터
상태바
[향토문화] 탐라국 시대 '건들개'..건입동 건입포(산지포)터
  • 고영철(제주문화유산답사회장)
  • 승인 2021.10.13 11:52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1890년에 朝鮮郵船의 汽船이 산지항과 부산항 사이 취항

건입동 건입포(산지포)터

 

위치 ; 제주시 건입동 산지천 하류
시대 ; 탐라~
유형 ; 어로․교통시설(포구)

산지포구(1920년대)
건입동_건입포터

 

탐라국 시대에 건입포(建入浦)라 해 일명 '건들개'라 불려져 오다가 조선시대에는 산지항(山地港)으로 개칭돼 군항으로 이용되기도 했었다.

우리나라 본토 및 외국과의 교류에 대한 흔적은 탐라의 왕이 신라의 강진(江津)에 이르러 신라왕에게 입조(入朝)한 후 '건들개'로 귀국했다는 기록이 있으며, 외국과의 교류는 1928년 제주항 축조공사때 돌산(突山·지금의 제주시수협 동쪽)에서 전한시대(前漢時代)의 거울(漢鏡)과 엽전(貨泉) 등이 다량 발굴된 것으로 봐서 서기15년경부터 시작됐던 것으로 추정하고 있다.

기록상 최초의 항만건설은 1735년에 김정(金政) 제주목사가 전 도민을 부역하게 해 방파제 80간과 내제(內堤)를 쌓았으며, 광무1년(1897)부터 기선이 취항하면서 명실상부한 제주도의 주교통항으로 발전하였다.

1891년 05월 15일(음)에는 일본 무장어선이 건입포에 불법침입해서 주민 16명을 살상했던 아픈 과거도 있다.(국사편찬위원회 한국사데이터베이스) 이와 같이 건입포는 예로부터 육지를 오가는 관문으로 교역과 어로활동의 중심지였다.

옛 사진을 보면 졸락코지의 동남쪽과 그 맞은 편에 배들이 매어진 것을 볼 수 있다. 지금은 원래 건입포 부근에는 용진교라는 다리가 놓여 있고 훨씬 북쪽으로 제주항이 건설되었다.제주와 다른 지역과의 교류가 문헌에 등장하는 것은 삼국시대부터이다.

제주에서는 탐라국시대부터이다.기원전58년 신라 탈해왕2년에 탐라 高善主王은 사자를 보내어 즉위를 축하했다. 기원전20년 신라의 호공이 탐라의 산천지형을 둘러보고 돌아갔다.343년 탐라의 조공선이 신라로 가다가 태풍을 만나 일본 오키나와 中山島에 표착했다.

480년 탐라의 고담왕은 양탕과 부계량을 신라에 사자로 보내어 만물을 바쳤다.589년 중국 隋의 敵船 1척이 태풍으로 탐라에 표류했고 이 때 탐라의 高札參王이 이를 구조하여 백제를 통해 돌려보냈다.661년 탐라왕이 사자를 보내 (당나라에) 입조했다.(唐나라 東夷傳 담라條)

고을나의 15세손 高厚․高淸․高季 삼형제가 배를 만들어 타고 바다를 건너 탐진(지금의 강진)에 이르렀다.(高麗史 地理誌 耽羅縣條)耽浮羅의 商船이 廣州에 폭주한다. 탐라의 선박은 크고 단단하다.(韓愈書)1928년에는 산지항 방파제공사 때 채석장에서 중국 전한시대의 오주전과 고경, 화시와 화천이 출토되었다.

탐라는 해외교역을 위하여 건들개의 내항으로 고령포를 설치했다. 여기에는 당나라 배들까지 정박했다. 고령포는 지금의 남수구 동쪽에 해당한다.조선시대에는 주로 건들개를 통하여 관원이 출입하고 물자의 수송이 이루어졌다.

이 건입포를 터전으로 건입포 주민들은 20여 척의 중선(重船=돛대 2개로 운항하던 風船)을 보유, 봄이면 군산, 연평도, 해주, 신의주까지 진출한 뒤 음력 10월이면 쌀과 각종 상품을 싣고 귀항하기도 했다. 1890년에 朝鮮郵船의 汽船이 산지항과 부산항 사이에 취항함으로써 본격적인 해상운송의 시대를 개막했다.

1913년 종신환이 목포 항로를 한 달에 두 차례 정도 비정기적으로 드나들었다.1915년 창평환이 제주-부산에 취항했다.1918년 제주-下關, 오사카 항로에 함경환이 취항했다. 1924년에는 이 항로에 강원환, 복견환이 취항했는데 월 2회 가량 운항했다.

1920년 신포천환이 취항했는데 이 선박은 제주 출신 김웅도․김영선 등이 일본에서 잠수함을 임차, 개조하여 운용한 것이다. 또한 목포로는 도환, 태서환, 황화환, 보성환 등이 잇달아 취항했다.

1920년대 들어 1876년 한일수호조약이 맺어짐으로써 항구들이 개항장, 지정항, 세관지정항, 지방항으로 구분된 데 따라 제주항, 서귀포항, 성산항이 지정항으로 조천항이 지방항으로 관리되었다.

1924년에 디젤선박(일본 神戶제철소에서 건조)이 처음으로 제주-목포, 제주-부산, 제주-오사카 사이를 다니게 되었다.1926년에는 일정예산(日政豫算) 30만엔을 투자해 서방파제 310m를 건설했다.

이즈음 일본은 오사카를 중심으로 군수산업을 일으키면서 노동력을 제주사람들로 채워나가기 위한 방편이긴 했지만 국제여객선으로 기미가요마루(君代丸)가 최초로 제주(고산항, 세화항 등 경유)-오사카 사이를 정기운항했다.

君代丸은 1922~1945년 사이에 운항했다. 이에 대항하여 1930년 고순흠(조천), 김문준(조천), 문창래(애월), 김달준(하귀) 등은 자주운항 운동을 일으켜 ‘우리는 우리 배로’라는 표방 아래 1만50명의 조합원으로 동아통항조합(조합장 문창래)을 결성, 동년 11월 3일에 복목환(伏木丸)을 구입 운항을 하기도 했다. 정원 800명을 태우는 1300t급 영국제 강철선이었다.(제주의소리 110907, 제민일보 060320, 110314, 110916, 마을회지)


1930년 군대환(930톤)이 취항했다. 군대환은 러일전쟁 때 러시아해군으로부터 빼앗은 전리품으로 尼崎해운회사에 불하했고, 이 회사는 이 전함을 두 동강내어 화물선으로 고쳐 제주-下關, 오사카 항로에 투입했다.1931년 복목환(1600톤)이 취항했다.

복목환은 제주 출신 재일동포의 성금과 고순흠씨를 비롯한 도내 몇몇 실업인이 투자, 영국 산선을 사들여 개수한 것이다. 그러자 군대환이 요금덤핑으로 경쟁했고 도항증명서를 빨리 내주지 않는 등 일제의 간섭이 있었는데 1932년 자취를 감추었다. 정확한 원인은 밝혀지지 않았다.

이 때까지의 산지포는 큰 배가 정박할 수 없는 규모여서 북방 2㎞ 해상에 정박해서 20~30톤 규모의 동력선을 종선으로 이용하여 지금의 제주시수협 물양장으로 상륙했다.방파제 혹은 물양장을 축조하려면 우선 돌을 캘 석산이 있어야 한다.

지금처럼 삼발이(TTP,테트라포트)가 보급되지 않은 상황에서는 더욱 그랬다. 1928년 서부두를 처음 축조할 때는 주정공장 인근 석산을 활용했다. 여기에 투입된 노동자들은 대부분 함경북도 청진 출신이었다.

청진항 공사가 마무리되자 이들은 비교적 수입이 좋은 서부두공사장을 찾았다. 화물트럭이 없는 상황에서 돌 운반은 인력에 의존할 수밖에 없었다. 그래서 이 때 나온 말이 ‘청진팔목도’이다. 긴 목도 중간에 돌을 걸어 앞 4인, 뒤에 4인이 어깨에 메고서 운반하는 지극히 원시적인 방법이었다.

이들은 쌀 한 가마에 5원 하던 시절 일당으로 3원을 받았으니 급료는 상당히 높은 것이었다. 이때 축조된 방파제는 300m, 지금의 제주조선공업(주) 뒤쪽 방파제에 해당한다.산지포의 근간이 된 동부두는 주정공장 건설과 밀접한 관계가 있다.

일제는 대체연료 확보를 위해 제주 지역에서 대량생산되던 고구마를 원료로 알콜을 제조키로 하고 주정공장을 짓기로 했다. 동양척식회사가 맡았다. 그러나 알콜을 실어나르기 위해서는 항만시설이 비좁아 이를 확장하는 일이 시급했다.

조선총독부는 이에 따라 120만원의 사업비를 들여 모두 3차례에 걸쳐 동부두 일대 13,594평을 매립했다. 서부두 쪽으로도 510m의 방파제를 추가로 쌓았다.
위 사진은 1927년 항만공사 중인 산지포이다.
《작성 120908, 보완 130826》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0 / 40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주요기사
이슈포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