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민이 더 안전한 ‘영향예보’ 구축..”
상태바
“국민이 더 안전한 ‘영향예보’ 구축..”
  • 김태홍 기자
  • 승인 2016.05.31 13:46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고윤화 기상청장, ‘기상청-제주도 기상예보 협업 할 것’밝혀

 

 

“제주도는 한라산 중심으로 동서남북으로 기상변화가 상당히 다르다. 농어업에 종사하는 분들에게 최상의 기상서비스를 제공하겠다.”

기상청은 31일 오는 8월부터 현행 기상예보체계를 ‘영향예보’시범 도입한다고 밝혔다.

고윤화 기상청장은 이날 오전 11시 제주도청 기자실에서 기자간담회를 갖고 “영향예보를 올해 태풍. 대설에 대해 시범적으로 영향예보를 시행할 것”이라고 말했다.

이번 기상청이 도입하는 ‘영향예보’는 단순히 어느 지역에 어느 정도의 강수가 예상된다는 수준을 넘어 국민 생활에 직결되는 내용, 즉 비로 인해 비행기 결항이나 주택 침수 등이 예상된다는 식의 구체적이고 생동감 있는 정보 제공 방식이다.

고 청장은 “현재 예보 방식은 어느 정도 예상된다는 단순 정보만 제공한다”며 획일적으로 지역별·계절별로 달리하겠다는 뜻이다.

고 청장은 “기상청은 지금까지는 일방적으로 지방자치단체에 통보를 하게 되면 지방자치단체는 자체적으로 대응하는 시스템이었지만 앞으로는 기상청과 지자체와 공동으로 시시각각 변화하는 기상상황 등을 협업하게 된다”고 말했다.

고 청장은 “태풍인 경우에는 태풍의 진로와 강풍의 크기 등을 소통을 통해 사전에 대비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영향예보”라며 “앞으로는 지자체와 협력이 제일 중요하다”고 강조했다.

고윤화 기상청장
고 청장은 “자자체와 긴밀하게 소통을 위해 지금도 기상청 직원이 파견됐다”며 “제주도청 직원도 기상청에 파견돼 근무를 하고 있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기상청은 지자체와 서로 간 긴밀한 소통을 해 나갈 것”이라며 “매뉴얼은 지자체에서 만든다. 그렇지만 그 매뉴얼은 어떠한 식으로 만들어져야 한다는 것은 기상청에서 충분한 소통을 통해 만들어 나갈 것”이라고 강조했다.

최악의 경우에는 대중교통을 중단시킨다든지 하는 부분은 일부 외국에서 실시하고 있는 것과 관련, 고 청장은 “그런 부분들은 충분히 할 수 있는데 미국시민들은 당연히 받아들이는데 우리나라는 정서적으로 좀 어려운 면이 있어 이해와 설득을 통해 추진해 나가야 한다”고 말했다.

고 청장은 “영향예보라는 게 지금 당장 시행하면 갑자기 바뀐 다기보다도 단계적으로 차분히 발전시켜 나가야 한다”며 “앞으로 준비기간을 한 5년~10년 정도까지 생각해야 한다”고 말했다.

고 청장은 “영향예보를 하게 되면 여러 가지 단계별 대응 전략이 필요하다”며 “그런 부분들은 기상청과 지자체 간 매뉴얼 적성 시 충분한 논의를 거쳐 나갈 것”이라고 말했다.

고 청장은 “현재 재해. 재난에 관해 국민안전처에서 만들어진 매뉴얼이 있는데 그러나 앞으로 영향예보를 하게 되면 그런 부분들이 상당히 수정과 보완이 됨으로서 고차원적으로 될 것”이라고 말했다.

고 청장은 “영향예보를 하게 되면 한다고 해도 틀릴 수도 있는데 특히 농.업어에 종사하는 분들은 영향예보를 믿고 일손을 놓고 있다가 낭패를 보기도 한다"고 전했다.

고 청장은 “영향예보일지라고 틀리지 않도록 하겠지만 만일 틀릴 수도 있는 부분도 있을 것으로 예상된다”며 “하지만 확률적으로 잘 맞지 않는 부분들은 충분한 정보제공으로 대비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영향예보”라고 강조했다.

그러면서 “이번 영향예보로 충분히 경쟁력이 있을 것으로 보고 있다”며 “만일 영향예보가 틀리더라도 기상예보는 해야 한다. 그렇지 않으면 이익을 얻을 수 없다”고 말했다.

고 청장은 “앞으로 기상청은 선제적으로 대응해 선진국보다도 더 나은 시스템을 구축해 우리나라에 맞는 기상정보를 제공하겠다”고 말했다.

기상청은 영향예보가 날씨 재해 예방 역할을 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나아가 특정 날씨가 국민 일상과 경제활동, 관광객 등에게 미치는 영향까지 예측해 생활의 편리를 더하는 역할을 장기적 목표로 설정하고 있다.

고 청장은 영향예보 추진 과정에서 어려운 점도 적지 않다고 토로했다.

따라서 살아 있는 예보를 위해서는 지역별·지형별·계절별로 광범위한 자료가 필요해 중앙정부와 지방자치단체, 정부기관 등과 긴밀한 협력이 필수적이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0 / 40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주요기사
이슈포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