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양쓰레기 처리, 이동식 소각기 절실”
상태바
“해양쓰레기 처리, 이동식 소각기 절실”
  • 김태홍 기자
  • 승인 2017.04.26 11:16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환경포커스)수거된 해양쓰레기 해안도로변 방치 눈살

 
해양쓰레기가 해안도로변 미관을 저해하고 있는 가운데 현장에서 소각할 수 있는 이동식 소각기를 구입해 선제적으로 대처해야 한다는 주장이다.

제주자치도는 해양쓰레기 처리를 위해 전국 최초로 ‘청정 제주바다 지킴이’를 운영하고 있지만 수거된 해양쓰레기가 제때에 수거가 되지 않으면서 해안도로변 미관을 해치고 있다.

제주도는 올해 말까지 제주시 56명·서귀포시 44명 등 총 100명을 청정 제주바다 지킴이로 위촉했다.

청정 제주바다 지킴이는 오전 9시부터 오후 6시까지 해안변 해양폐기물 발생 취약구간에 고정 배치되고 있다.

이들은 1명 당 해안변 책임구간을 지정받고, 상시 수거 활동을 펼치고 있다.

26일 제주시에 따르면 올해 1월부터 3월 31일 현재 제주시 관내에서 발생해 처리한 해양쓰레기는 1천 335톤인 것으로 나타났다.

 

지역별로 보면 ▲한림읍 210톤(괭생이모자반 60, 해양쓰레기 150) ▲애월읍 160톤(괭생이모자반 40, 해양쓰레기 120) ▲구좌읍 140톤(괭생이모자반 50, 해양쓰레기 90) ▲조천읍 295톤(괭생이모자반 200, 해양쓰레기 95) ▲한경면 125톤(괭생이모자반 30, 해양쓰레기 95) ▲추자면 해양쓰레기 60톤 ▲우도면 해양쓰레기 50톤 ▲용담2동 해양쓰레기 30톤 ▲화북동 해양쓰레기 10톤 ▲외도동 해양쓰레기 15톤 ▲도두동 해양쓰레기 10톤 ▲삼양동 40톤(괭생이모자반 20, 해양쓰레기 20) ▲이호동 190톤(괭생이모자반 170, 해양쓰레기 20)이다.

해양쓰레기 발생 원인으로는 태풍, 장마, 기상악화 시 하천을 통해 유입되는 육상기인 쓰레기와 어업활동에서 발생되는 어구·어망, 폐스티로폼 및 중국, 육지부 등지에서 밀려오는 해상기인 쓰레기다.

매년 제주도에서 발생되는 해양쓰레기 발생량은 약 2만여 톤으로 1만4천여 톤으로 전도의 약 65%로 추정하고 있다.

이에 따라 밀려드는 해양쓰레기 처리를 위해 ‘청정제주바다지킴이’를 지난 3월 2일부터 해양쓰레기 수거에 매일 나서고 있는 것.

하지만 이 같이 수거된 해양쓰레기는 해안도로변에 장기간 방치되면서 관광시즌을 맞아 해안도로변 미관을 저해하고 있다.

특히 읍면동별 쓰레기 수거 차량을 운영하고 있지만 해양쓰레기의 경우 우선순위에서 밀려 처리에 크게 애를 먹고 있는 것.

 

수거된 해양쓰레기는 공공폐기물 처리시설에서 반입이 제한되면서 애를 먹고 있으며, 읍.면별 집하장에 이동식 소각장치를 설치해 현장에서 즉시 처리할 수 있도록 이동식 소각기 도입이 절실한 실정이다.

이동식 소각기는 해양쓰레기는 물론 음식물쓰레기까지 소각할 수 있으며, 발암물질 발생이 전혀 없으며, 모든 쓰레기를 처리할 수 있다.

이에 대해 제주시 관계자는 “해양쓰레기를 현장에서 소각할 수 있는 이동식 소각기를 구입하기 위해 추경에 예산을 올릴 예정이지만 반영될지 현재로서는 확실치 않다”면서 “예산이 반영된다면 해양쓰레기 처리에 현장에서 선제적으로 대처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따라서 “이동식 현장 소각기를 구입해 해양쓰레기를 선제적으로 대처할 수 있도록 해야 한다”는 게 설득력을 얻고 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0 / 40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주요기사
이슈포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