빙하기 이후 한라산에 고립, ‘세바람꽃’ ..
상태바
빙하기 이후 한라산에 고립, ‘세바람꽃’ ..
  • 고현준 기자
  • 승인 2017.06.05 09:30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빙하기에 서식했다가 고산지역에 고립된 식물..소백산에서 발견

 

▲ 세바람꽃(개화)
환경부 산하 국립공원관리공단(이사장 박보환)은 5일 제주 한라산국립공원에서만 서식하는 것으로 알려진 ‘세바람꽃’을 5월 초 충북 소백산국립공원 자연자원 조사 과정 중에 발견했다고 밝혔다.

세바람꽃(Anemone stolonifera Maxim)은 해발 700m 이상의 차가운(아한대) 지역에서 서식하는 바람꽃속 식물로 소백산 해발 1,000m 내외의 계곡 주변에서 발견됐다.

소백산 세바람꽃 자생지는 면적 10㎡ 정도의 작고

▲ 세바람꽃
습한 곳이다.

세바람꽃은 한 줄기에서 세 송이의 꽃을 피우기 때문에 ‘세송이바람꽃’이라고 불리기도 하며, ‘식물구계학적 특정식물 Ⅴ급’과 ‘국외반출 승인 대상종’으로 지정돼 있다.


특정식물 Ⅴ급은 한반도를 기준으로 식물의 분포를 볼 때 얼마나 좁은 범위에 분포하는지를 Ⅰ~Ⅴ등급으로 나누어 구분하며 등급이 클수록 분포지

▲ 한라산 세바람꽃(출처: 국립생물자원관, 구연봉, 전주민, 임재원)
역이 좁은(희귀식물) 식물에 속한다.


국외반출 승인 대상종이란 생물다양성의 보전을 위해 보호할 가치가 높아 국외로 반출할 경우 환경부 장관의 승인을 얻어야 하는 생물자원을 말한다.

따라서 세바람꽃 서식지는 하루에 1~2시간 햇볕이 들면서도 습도를 유지할 수 있는 까다로운 생태적 특성 탓에 극히 제한적으로 분포하고 있다.

국립공원관리공단 연구진은 빙하기 이후 한라산에 고립된 세바람꽃이 어떤 경유로 한반도 남쪽 내륙 지역에서도 살게 되었는지 과학적인 이유를 파악할 계획이다.

이에 연구진은 한라산과 소백산의 세바람꽃 유전자를 분석하고, 서식지별 생물 계통학적 차이와 함께 세바람꽃이 빙하기 이후 격리된 시기 등 한반도의 자연사와 기후변화에 관한 다양한 궁금증을 연구할 예정이다.

또한, 소백산 세바람꽃의 자생지에 주변의 경쟁 식물이 침입하면 자생지 면적이 줄어들고 상록성 식물 등이 사시사철 그늘을 만들어 세바람꽃의 생육에 영향을 미칠 수 있을 것으로 보고 주의 깊게 관찰(모니터링)할 예정이다.

이수형 소백산국립공원북부사무소장은 “최근 기후변화로 인해 세바람꽃과 같은 북방계식물이 위협받고 있는데 소백산이 이러한 식물의 안식처 역할을 할 수 있도록 과학적인 관리를 수행할 것”이라며, “세바람꽃이 소백산에서 안정적으로 서식할 수 있도록 다양한 보전 노력을 펼치겠다”고 밝혔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0 / 40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주요기사
이슈포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