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향토문화]신양1리 창원황씨입도조(황경한 혹은 환경헌)묘
상태바
[향토문화]신양1리 창원황씨입도조(황경한 혹은 환경헌)묘
  • 고영철(제주문화유산답사회장)
  • 승인 2017.07.19 22:01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경헌의 모친 정난주는 정약현의 딸이며 다산 정약용의 조카


신양1리 창원황씨입도조(황경한 혹은 환경헌)묘


黃景漢(黃景憲)墓
위치 ; 추자면 신양리 산 20-1번지 속칭 '술박낭끝'에 있다. 추자면 신양1리에서 북동쪽에 있는 산을 올라가면 황경한의 묘로 가는 유도로가 개설되어 있고, 예초리에서도 올라가는 길이 있다.
시대 ; 조선(1800년대 후반)
유형 ; 무덤
황경한 묘 문화재 지정사항 ; 비지정

 

 

 

황사영(본관 昌原)의 아들 황경한의 묘이다. 황사영은 1775년 강화읍 월곶리 출신으로 약관 16세에 초시, 17세에 복시에 장원급제하여 정조 임금으로부터 사랑을 받아 왔으나, 입신양명의 길을 버리고 처숙인 정약종의 인도로 천주교에 입교하여 박해의 길을 걸었다.


1773년 나주 본관 정약현과 경주 본관 이씨 사이에서 태어난 정명련(일명 난주)은 당대 최고의 실학자 정약용의 조카로서 숙부의 가르침을 받아 천주교에 입교했으며 1791년 황사영과 혼인했다.

1800년 황경한을 낳았다. 1801년 신유박해가 일어나자 황사영은 박해의 참상과 순교자 현황 그리고 신앙의 자유를 위한 외국의 지원을 청원하는 ‘황사영백서(黃嗣永帛書)’를 작성하여 외국으로 보내려 하였다.

그러나 발송하기 전에 발각되어 능지처사(陵遲處死)로 순교하였으며 그 결과 모친 이윤혜는 거제도, 처 정명련은 제주도 대정현에, 아들 경한(2세)은 영광군 추자도에 유배되었다.


경한은 당시 강보에 싸인 젖먹이였는데 아기를 안고 오던 정난주마리아가 제주도로 귀양가는 도중 관리들이 아기를 수장시키라는 밀명을 받았음을 눈치채고, 사공에게 패물을 주어 관리들에게 술을 먹여 취하게 한 후 추자도에 배를 대게 하고 바닷가 바위 위에 아기를 내려놓고 갔다는 이야기가 전한다.

그 바닷가라는 곳은 ‘물생이끝’이라고 하며 그 아기는 소를 보러 나왔던 오상선씨가 발견하였는데 아기의 옷 속에 아기의 부모 이름과 아기의 이름, 잘 키워 달라는 부탁의 말을 쓴 편지가 있어서 자기 집에 데려다 키웠다고 한다.

또한 당시 오상선씨의 부인은 아직 아기를 낳기 전이었지만 황경한이 하도 울어서 젖을 물렸더니 젖이 나오는 기적이 있었다는 이야기도 전한다.


그러나 황경한의 유배지는 처음부터 추자도로 정해져 있었다고 보는 게 옳다. 아기를 수장시키라는 밀명을 내린다는 것도 국법상 있을 수 없는 일이고, 관리들이 술에 취해 배를 대는 것도 모를 정도였다는 것은 말이 되질 않는다.


황경한의 6대손 황경자씨(1999년 59세)에 의하면 황경한의 부인은 무안 출신의 김씨였다고 하며, 황경한을 발견한 분은 몇 년 전에 돌아가신 오관석씨의 할아버지라고 한다.


한편, 필자가 물생이끗 현장을 답사하면서 이곳에 배를 붙이기는 불가능하겠다는 판단을 했었는데, 면사무소에 근무하다 퇴임하신 박동현씨는 아기를 두고 갔다는 물생이끗이 물살이 빨라 배를 대기 어려운 곳이며 인가와도 매우 멀리 떨어져 있어 그곳에 아기를 두고 간다는 것은 실질적으로 불가능하다고 했다.(1999년 5월 28일 면담)


그리고 모친 정난주가 운명했을 때에는 아들 황경한에게 서신을 보냈으나 뱃길이라는 지리적 제한도 있었겠지만 유배인의 신분으로 지역을 벗어날 수 없었기 때문에 장례에 참석할 상황은 되지 못했던 것 같다.


2002년 현재 무덤 앞에는 비석이나 어떤 표석도 세워져 있지 않은 상태였다. 2012년 현재 묘 앞에는 천주교에서 세운 비석이 있고 2000년대 후반에 세워진 현장의 안내판에는


《마리아정난주의 아들 황경헌의 묘역》


“이 신도의 예초리 산20번지 605평 되는 황경헌의 묘역은 제주천주교 전래 100주면 기념으로 공원을 조성하였다. 경헌의 모친 정난주는 정약현의 딸이며 다산 정약용의 조카이다.

고모부 베드루 이승훈에게 세례를 받고 문과 장원급제한 황사영과 결혼, 6년만에 경헌을 낳아 주문모의 유아세례를 받았다.

황사영은 백서 사건으로 순교하고 아내는 두 살인 아들 경헌과 제주도로 유배중 호송선이 예초리에 머물자 몰래 이름과 출생일을 적어 저고리에 싸서 물새울 황새바위에 두고 떠났다.

마침 오재일(吳在一)의 고조께서 애 울음소리를 듣고 데려다 잘 키웠고 자라서 아들 건섭(建燮)과 태섭(泰燮)을 낳았으며 오늘날 6세손까지 이어졌다.

한편 정난주의 묘역인 대정읍 동일리 12번지의 2310평을 성역화하자 전국 신도들의 순례지로 찾아든다.”라고 설명되어 있다.


지금도 황경한의 후손들이 추자도에 살고 있으며 오씨와 황씨는 한 집안으로 생각하여 서로 혼인을 하지 않는다고 한다. 한 어머니의 젖을 먹고 자랐으니 그럴 만도 하다. 1999년 황경한의 후손 황경자씨를 만나 들어보니 추자도에 황씨가 많지는 않고 대부분 부산, 광주, 목포 등지로 나갔다고 한다.


다른 묘에 비하여 조금 큰 편인데 이는 부부합장묘이며, 바로 앞에는 아래는 후손 황인수 조부모의 합장묘이다.(천주교순교자유적답사회 카페)

황경한의 묘는 1997년 여름까지만 해도 길이 없어 숲과 억새밭 사이를 뚫고 갔는데 그 해 11월 김수환 추기경이 방문하면서 신양리에서 들어가는 길이 만들어졌다. 2010년 예초리에서도 길이 개설되어 올렛길로 이용되고 있다.


위 사진은 1997년 9월, 아래 사진은 2012년 5월에 찍은 것이다.
《작성 041031, 보완 111222, 120527》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0 / 40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주요기사
이슈포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