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은 제주4‧3 희생에 공식 사과하라”
상태바
“미국은 제주4‧3 희생에 공식 사과하라”
  • 김태홍 기자
  • 승인 2017.10.17 15:10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17일 광화문광장서 ‘10만인 서명 운동 선포식’ 기자회견 개최

 
제주4.3 당시 실질적 권한을 행사했던 미군정의 역사적 책임을 묻고 이에 대한 미국과 유엔(UN)의 책임있는 조치를 촉구하는 ‘10만인 서명 운동 선포식’ 기자회견이 17일 서울 광화문광장 미대사관 앞에서 열렸다.

제주4·3희생자유족회와 제주4·3 70주년 기념사업위원회(제주), 제주4·3 제70주년 범국민위원회는 오늘부터 온.오프라인을 통해 우리나라 국민 뿐 아니라 제주4·3의 진상규명과 책임을 촉구하고 인권과 평화의 가치를 지켜나가자는 제주4·3의 정신에 동의하는 전 세계인이 참여하는 서명운동을 전개해 나갈 예정이라고 밝혔다.

제주4·3 70주년 기념사업회와 제주4·3희생자유족회, 제주4·3 제70주년 범국민위원회, 제주4·3 70주년 기념사업위원회가 공동진행한 기자회견에서 “제주4·3은 미군정이 통치하던 시기에 발생한 민간인 대량학살 사건”이라며 “미군정 시기와 미국 군사고문단이 한국군에 대해 작전통제권을 행사하던 시기에 3만명이 넘는 제주도민이 억울하게 희생됐지만 70년의 세월이 흐르도록 미국 정부는 아무런 말이 없다”며 미국의 책임 있는 요구를 촉구했다.

이들은 “1948년 4·3직후 미군정은 브라운 대령을 제주지구 미군사령관으로 파견해 제주 현지의 모든 진압작전을 지휘·통솔했다”며 “‘원인에는 흥미없다. 나의 사명은 진압뿐’이라는 브라운 대령의 발언은 미군정이 제주4·3의 대량학살로 비화되는데 중요한 역할을 했을 보여주는 단적인 사례”라고 강조했다.

이들은 ▲미국의 4·3 민간인학살에 대한 책임인정과 공식 사과 ▲미국과 한국정부의 4·3 당시 미군정-군사고문단의 역할에 대한 공동조사 ▲국제연합(UN)의 4·3학살진상조사와 미국과 한국정부에 책임 있는 조치를 요구했다.

 
참가자들은 이날 10만인 서명운동을 선포함에 따라 향후 국내외에서 본격적인 활동에 돌입할 예정이다. 서명운동에는 우리나라 국민 뿐 아니라 국경을 넘어 제주4·3의 진상규명과 책임을 촉구하고 인권과 평화의 가치를 지켜나가자는 제주4·3의 정신에 동의하는 누구나 참여 할 수 있도록 오프라인과 구글서명, 사회관계망(SNS) 등 온라인서명도 가능하다.

또 국제 온라인 시민단체인 아바즈등과 공동으로 진행, 70주년을 기점으로 제주4·3을 더욱 알려내는데 힘을 쏟을 예정이다.

서명운동은 내년 2018년 3월31일까지 1차로 진행한 뒤 제주4·3 70주년 기념행사가 열리는 2018년 4월7일 광화문광장 앞에서 공식기자회견을 가진 뒤 이를 미 행정부와 유엔관련 위원회에 서신과 함께 전달할 예정이다. 이어 10월까지 2차 서명운동이 이어진다.

단체들은 이날 기자회견 후 미 대사관에 이 같은 내용의 영문기자회견문을 전달했다.

이날 기자회견에는 범국민위원회 상임공동대표인 [정연순 민변 회장, 양윤경 제주43희생자유족회장, 박용현 한국전쟁유족회 공동대표, 허영선 제주4·3연구소장], 범국민위원회 공동대표 [허상수 재경43유족회 공동대표, 조창익 전교조 위원장, 정세훈 민예총 이사장, 박래군 인권중심 사람 소장, 정진호 NCC 인권센터 소장,] 박찬식 운영위원장, 박진우 사무처장, 제주위원회 [강정효 제주43 70주년 제주기념사업위원회 상임공동대표, 강호진 제주43 70주년 제주기념사업위원회 집행위원장, 양성주 제주43희생자유족회 사무처장, 양동규 문예위원장, 강성실 사무국장], 노수희 범민련 의장, 김영정 진보연대 집행위원장, 양한웅 조계종 사회노동집행위원장, 구수정 한-베트남평화재단 상임이사, 김순자·문광호·오창자 재경43희생자 유족 등이 함께 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0 / 40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주요기사
이슈포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