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얀 모래와 돌이 많아 '백개'..이호포구
상태바
하얀 모래와 돌이 많아 '백개'..이호포구
  • 김문주
  • 승인 2011.11.25 15:01
  • 댓글 1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김문주의 향토기행②)지금은 사라진 백개포구를 따라

 

 

향토연구가인 김문주 씨(라마다플라자호텔 스포츠센터 대표)가 제주도 전체 해안을 발로 걸으며 조사한 제주포구 역사를  향토자료로 만드는 작업을 진행하고 있다.

김 대표는 지난 9월 세계7대 자연경관 선정과 WCC성공을 기원하는 세계 최초로 제주 수영일주를 기획,성공한 장본인이다.

김 대표는 제주-수영일주 행사가 끝난 직후 약 20여일간 제주도 전 해안을 발로 걸으며 제주도의 포구를 사진과 영상으로 만드는 작업을 진행했다.

 

   
제주해안에 산재한 제주포구를 제주해안을 따라 20여일을 직접 걸어 조사한 향토연구가 김문주 대표

제주포구를 구성하는 안캐 중캐 밖캐 등 제주도 포구가 갖는 의미도 새로운 사실이며 제주도민의 삶의 지혜가 엿보이는 부분이다.

제주포구의 역사는 제주도민의 삶과 직접 연관돼 있어 포구의 변천은 제주도와 도민의 생활의 변화와 많이 닮아 있기 때문이다.

현재의 제주포구는 어떤 모습인지 김문주 향토연구가가 직접 찍은 사진과 마을 자료로 함께 만나 보는 기획시리즈를 연재한다(편집자주)

 

 제주시 이호테우해변

 

제주시 이호1동은 제주시에서 가장 가까운 이호테우해변이 있는 곳이다.

이형상의 탐라순력도에는 '백개, 가몰개'로 기록되어 있으며 이호주민센터를 중심으로 4개의(동마을, 서마을, 중앙마을, 현사마을) 자연마을로 이루어져 있다.

이호동사무소가 있는 지역을 백개, 이호해수욕장을 비롯한 서쪽지역을 가물개라고 한다.

이호1동 동동네와 섯동네에 걸쳐있는 큰 바닷가의 백개(포)라고 일컫는데 옛날에는 큰 포구가 있었으나 지금은 옛모습을 찾을 수가 없다.

백개의 백은 이 일대 모래나 돌이 희다는 뜻에서 붙여졌다는 설이 있다.

민속유적으로 본향당(이호동포구)과 이호동 포제단(이호동 '남당' 서쪽)이 남아있다.

제주시 중심에서 서쪽으로 약 6킬로미터, 구 일주도로와 인접해 있고 서쪽으로는 원장천을 경계로 외도동과 접해있고 동쪽으로는 도두, 남쪽으로는 신 일주도로변으로 이호2동과 인접해 있으며 북쪽으로는 해안도로와 인접해 있다.


이호해수욕장과 인접해 있고 요트경기장이 있어 여름에는 관광객과 도민이 즐기는 휴양지이며 해안도로가 통과하여 바다를 가까이에서 즐길 수 있다.

도심속에서 자연을 만끽할 수 있는 전원마을이다.


제주시 이호2동은 신일주도로 연변과 그 남쪽 일반주거지역으로서 대동마을, 오도롱을 합친 마을이다.

근래 이호해수욕장과 노형을 잇는 새로운 도로가 생겨 교통이 훨씬 유동적으로 되었고 민속유적으로는 본향당(오도마을)과 방사탑(이호검문소 남쪽)이 있다.

일반거주지에 공동주택의 신축으로 인구유입이 증가하는 추세.

제주시 중심에서 서쪽으로 약 6킬로미터, 신 일주도로와 인접해 있고 서쪽으로는 원장천을 경계로 외도동과 접해있고 동쪽으로는 도두, 남쪽으로는 노형과 접경을 이루고 있으며 북쪽으로는 신 일주도로변으로 이호1동과 인접 서북쪽 교통의 중심지이다.

 

한편 이호테우해변에 있는 원담이란 제주 해안의 자연 지형과 조차(潮差)를 이용해 고기를 잡을 수 있도록 돌을 쌓아 만든 담을 가리키는 말이다.

제주 지역 고유의 공동 어로 시설이라 할 수 있다.

이호동 원담은 과거 이곳 해안에 있던 원담을 원형으로 하여 근래에 새롭게 복원한 것으로, 바다를 향해 커다란 반원형으로 돌담을 쌓아 조성했다.

썰물 때는 운이 좋으면 원담 안에 작은 물고기가 갇혀 있는 모습을 볼 수 있다.

원담 안에는 해수면에서 용출되는 지하수인 문수물이 있는데, 50cm 정도 높이로 따로 돌담을 쌓아 귀중한 지하수를 보호한다.

지난 2004년부터 매년 이호해수욕장 일원에서 벌어지는 이호테우축제 때는 전통 어로 문화 계승을 목적으로 원담 고기잡이 체험 프로그램을 진행한다.

이호동 원담은 2009년 7월 제주시가 기존의 관광 명소 이외에 제주시 일대의 대표적인 장소 31곳을 선정해 발표한 '제주시 숨은 비경 31' 중 하나이다.

 

 

 

 


(자료참조=제주시 옛지명,제주시 마을소개 및 네이버 백과사전)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1
0 / 40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김효진 2011-11-28 10:18:30
연재 기사 ..기대하며 잘 보고 있습니다,

주요기사
이슈포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