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나라에 사는 10만여종 생물 중 자생종은 얼마나 될까..
상태바
우리나라에 사는 10만여종 생물 중 자생종은 얼마나 될까..
  • 고현준
  • 승인 2021.02.26 08:38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국립생물자원관 2020년 말 기준 국가생물종목록에 한국꼬마잠자리 등 총 5만 4,428종 서식 확인..

 

한국꼬마잠자리 수컷(신종)

 

우리나라에 사는 10여만 생물 중 자생종은 얼마나 될까.

지난 2020년 말 기준 국가생물종목록에 총 5만 4,428종의 자생종이 등록돼 우리나라 생물주권 확립을 위한 국제적 증거자료로 활용될 수 있게 됐다.

환경부 소속 국립생물자원관(관장 배연재)은 26일 지난 2020년 12월 말 기준으로 국가생물종목록에 등록된 생물 종수가 5만 4,428종이라고 밝혔다.

한국꼬마잠자리 암컷(신종)

 

국립생물자원관은 지난 1996년 이후 매년 생물의 다양성과 보전을 위한 노력으로 국가생물자원 종합목록 사업을 통해 우리나라에 살고 있는 자생종을 기록하고 있다.

우리나라에는 약 10만 여종의 생물이 사는 것으로 추정되고 있으며, 1996년 공식적으로 생물종목록을 집계한 이래 2020년 기준으로 약 2만 6,000 여종이 신종 및 미기록종으로 등재됐다.

노랑배청개구리(신종)사진제공: Amaёl Borzée 교수

 

이는 1996년 28,462종, 2007년 29,916종, 2017년, 49,027종, 2020년 54,428종 등이다.

2020년 지난 한 해 동안 한국꼬마잠자리, 노랑배청개구리, 산호디시디해면 등 431종의 신종을 비롯해 붉은하늘타리, 흰목딱새, 주름망둑, 긴가시뿔게 등의 미기록종을 포함하여 총 1,800종이 새롭게 추가됐다고 밝혔다.

노랑배청개구리(신종)사진제공: Amaёl Borzée 교수

 

지금까지 국가생물종목록에 기록된 자생생물은 척추동물 2,028종(포유류 125종 등), 무척추동물 2만 9,439종(곤충 1만 9,249종 등), 조류(藻類) 6,303종, 식물 5,557종, 균류 및 지의류 5,616종, 세균 3,229종 등으로 분류돼 있다.

 

 

붉은하늘타리(미기록종)

 

특히, ‘노랑배청개구리(Dryophytes flaviventris)’는 멸종위기 야생생물 I급인 수원청개구리의 집단별 울음소리와 유전자 연구 과정에서 익산 등 남부지역에 서식하는 수원청개구리 집단이 기존 수원청개구리와 다른 종으로 밝혀져 신종으로 등록됐다.

또한, 멸종위기 야생생물 II급인 꼬마잠자리는 지금까지 동남아시아에 분포하는 종과 같은 종으로 여겼으나, 각 지역별 종들의 유전자 분석을 통해 우리나라에 분포하는 종이 전혀 다른 신종으로 확인되어 ‘한국꼬마잠자리(Nannophya koreana)’로 새로 이름 지어졌다.

주름망둑(미기록종)

 

환경부와 국립생물자원관은 ‘야생생물 보호 및 관리에 관한 법률’에 따라 멸종위기종위원회 심의를 거쳐 노랑배청개구리, 한국꼬마잠자리 등을 멸종위기 야생생물 목록(2017년 기준 267종)에 신규 등재 및 명칭을 개정할 예정(2022년)이다.

 

 

흰목딱새(미기록종)

 

이 밖에도 ‘한국긴뺨자루맵시벌(Orthocentrus koreanus)’ 은하수갯민숭달팽이(Cadlina koreana), 스테노그람마 코레아눔(Stenogramma coreanum) 등 우리나라에서 처음 발견된 종들에 ‘코리아(korea)’, ‘코레아(corea)’, ‘한국‘ 같은 학명이나 국명을 붙여서 우리나라 생물임을 강조했다.

 

 

은하수갯민숭달팽이(신종)

 

국립생물자원관은 “자생생물 조사·발굴 연구 등 자체 사업을 통해 우리나라에 서식하는 생물들을 직접 찾아서 밝혀내거나 국내외 각종 문헌들을 조사하여 우리나라 생물들의 서식 기록을 지속적으로 관리하고 있다”고 밝혔다.

또한 국내외 생물분류학 연구자들의 노력으로 최근에는 매년 1,800여 종의 신종, 미기록종이 국가생물종목록에 꾸준히 추가되고 있다는 것.

Stenogramma coreanum(신종)

 

아울러 바코드유전자를 분석하여 신종 여부와 우리나라 고유종 식별에 적극 활용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바코드유전자는 종 별로 특이성을 가진 유전자의 염기서열을 비교하여 종판별에 사용된다.

한편 이번에 갱신된 국가생물종목록은 ‘국가생물다양성 정보 공유체계(kbr.go.kr)’와 '한반도의 생물다양성(species.nibr.go.kr)' 누리집에서2월 말부터 파일 형태로 내려받을 수 있다.

배연재 국립생물자원관장은 “나고야의정서 등 국제협약의 영향으로 국가 간 우수한 생물자원의 확보 경쟁이 점점 치열해지고 있는 시점에, 국가생물종목록의 구축은 우리나라의 생물주권 확보와 생물자원 지속가능한 이용에 가장 기초적인 자료가 될 것”이라고 말했다.

 

 

 

 

국가생물종목록 구축현황

 분류군별 생물종 수 현황(202012월말 기준)

대분류군

소분류군

종 수

대분류군

소분류군

종 수

동 물

(31,467)

척추

동물

(2,028)

포유류

125

균류

/지의류

(5,616)

균류

4,483

조류(鳥類)

545

지의류

1,133

양서류

22

식 물

(5,557)

관속식물

4,596

파충류

32

어 류

1,304

선태류

961

무척추

동물

(29,439)

극피

223

두문

22

조류(藻類)

(6,303)

녹조류

831

윤조류

957

모악

41

연체

1,957

홍조류

661

돌말류

2,223

해면

414

환형

662

와편모조류

452

자포

392

완보

71

은편모조류

15

대롱편모조류

393

편형

214

선형

590

착편모조류

7

윤형

319

복모

48

황적조류

2

유글레나조류

374

구두

3

유선형

7

남조류

388

내항

1

유형

3

원생동물

(2,256)

점액포자충류

2,256

태형

216

유즐

11

정복합포자충류

완족

9

추형

1

육질충류

성구

8

미삭

129

섬모충류

절지

동물

곤충

19,249

세균

(3,229)

세균류

3,207

곤충제외

4,849

고세균류

22

54,428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0 / 40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주요기사
이슈포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