황사
상태바
황사
  • 제주환경일보
  • 승인 2009.04.26 22:39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봄과 함께 찾아오는 불청객 황사. 중국·몽골의 사막지역, 황화 중류의 황토고원과 내몽골고원 등에서 생성된 흙먼지가 바람을 타고 이동하다가 떨어지는 현상이다. 봄철에 가장 많이 발생하지만 최근에는 겨울철에도 발생하고 있다.

황사의 30% 가량은 발원지에 떨어지고, 20%는 주변부에 영향을 주며, 나머지 50%가 장거리를 이동하면서 한국, 일본, 태평양 일대에 쌓이는 것으로 추정된다. 특히 중국 북부의 사막화 지역은 바다와 멀리 떨어져 있고, 물과 식물이 부족한 상태에서 바람이 강하게 불어 우리나라에까지 많은 영향을 미친다. [국립환경과학원 자료 인용]

황사관측은 비교적 오랜 역사를 지니고 있다. 신라 아달라왕 때인 174년에 발생한 우토(雨土)라는 기상현상이 삼국사기에 기록되어 있으며, 조선왕조실록에는 토우(土雨)라는 표현을 썼다.

황사의 미세먼지는 체내로 들어가 호흡기 질환, 결막염 등을 초래하고, 식물의 잎 표면에 침적해 식물생장에 지장을 주기도 한다. 청정도를 유지해야 하는 반도체나 정밀전자부품 등의 불량률을 높이는 등 산업에도 지장을 주고, 장거리 이동하는 과정에서 오염지역의 물질과 반응해 2차오염물질을 증가시킬 수도 있다.

황사를 막기 위해서는 중국의 생태복원사업, 조림사업을 등 근본적인 저감대책이 필요하다. 우리나라는 중국과 몽골 지역의 조림사업을 지원하고, 한·중·일 3국의 생태환경복원사업을 추진하고 있으며, 한·중간 황사 조기모니터링 체제를 구축해 예보 기능을 강화하고 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0 / 40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주요기사
이슈포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