올 여름, 전국 평균기온 평년보다 1 ℃ 높았고, 강수량은 291.2 mm 더 내렸다
상태바
올 여름, 전국 평균기온 평년보다 1 ℃ 높았고, 강수량은 291.2 mm 더 내렸다
  • 고현준
  • 승인 2023.09.07 14:10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기상청 발표, 평균기온 24.7 ℃ 역대 4위, 강수량 1018.5 mm 5위, 장마철 강수 660.2 mm 3위

 

2023년 장마철 호우 기압계 모식도

 

올 여름, 전국 평균기온은 평년보다 1 ℃ 높았고, 강수량은 291.2 mm 더 내린 것으로 나타났다.

기상청(청장 유희동)은 7일 ‘2023년 여름철(6~8월) 기후분석 결과’를 발표하고 이같이 밝혔다.

 

기온

여름철 전국 평균기온은 24.7 ℃로 평년(23.7 ℃)보다 1.0 ℃ 높았다(1973년). 한편, 여름철 석 달(6월, 7월, 8월) 모두 기온이 평년보다 높았던 해는 과거 51년 중(1973~2023년) 올해와 2018년, 2013년 세 해 뿐이다.

여름철(6~8월) 평균기온 순위는 (1위) 2018년 25.3 ℃, (2위) 2013년 25.2 ℃, (3위) 1994년 25.1 ℃, (4위) 2023년 24.7 ℃ 등이다.

 

고온 원인

6월하순~7월상순 북태평양고기압 가장자리를 따라 고온다습한 바람이 불어 기온을 높였고, 8월 상순에는 태풍 ‘카눈’이 동중국해상에서 북상할 때, 태풍에서 상승한 기류가 우리나라 부근으로 하강하면서 기온을 크게 높였다.

관측이래 일최고기온 극값 경신 지점은 (8월 3일) 울진 37.3 ℃(2위), 강릉 38.4 ℃(5위) 등으로 나타났다.

특히, 장마철에는 평년에 비해 따뜻한 남풍이 강하게 불어 비가 내리는 날에도 밤사이 기온이 크게 떨어지지 않아, 여름철 평균 최저기온(21.1 ℃)은 가장 높았던 2013년(21.5 ℃)에 이어 역대 2위를 기록했다.

폭염·열대야 일수 올 여름철 폭염일수2)와 열대야일수는 각각 13.9일/8.1일로 평년(10.7일/6.4일)보다 많았고, 모두 상위 12위를 기록했다.

과거 51년간(1973~2023년) 여름철 가장 더웠던 해인 2018년 여름철 폭염일수/열대야일수는 31.0일(1위)/16.5일(1위)로 가장 많았으나, 올해는 13.9일(12위)/8.1일(12위)로 상대적으로 적었다.

한편, 지난 2018년 여름철에는 티베트고기압과 북태평양고기압이 우리나라를 덮어 강한 햇볕의 영향을 받아 건조한 가운데 기온 상승효과가 매우 크게 나타났고, 올해는 2018년과 같이 티베트고기압은 우리나라를 덮었지만, 북태평양고기압의 가장자리를 따라 고온다습한 바람이 자주 불어 습하면서 더운 양상을 보였다.

2023년 8월 고온 기압계 모식도

 

강수량

여름철 전국 평균 강수량은 1018.5 mm로 평년(727.3 mm)보다 많았다(1973년 이래 5위).

여름철 강수량 순위는 (1위) 2011년 1068.1 mm, (2위) 1987년 1055.3 mm, (3위) 2020년 1037.6 mm, (4위) 1998년 1023.5 mm 등이다.

 

장마철 많은 비

장마철 전국 강수량은 660.2 mm로 1973년 이래 세 번째로 많았다. 특히, 남부지방은 712.3 mm의 많은 비가 내려 역대 1위를 기록했다.

장마철 북태평양고기압 가장자리를 따라 고온다습한 남서풍이 자주 불었고, 북쪽의 상층 기압골에서 유입된 찬 공기와 자주 충돌하면서 저기압과 정체전선이 더욱 강화돼 많은 비가 내렸다.

2023년 장마철 지역별 강수량 및 순위는 (중부) 594.1 mm(6위), (남부) 712.3 mm(1위), (제주도) 426.4 mm(15위) 등으로 집계됐다.

- 특히, 7월 중순에는 정체전선이 충청 이남 지역에서 장기간 남북으로 오르락내리락하면서 강하고 많은 비가 집중적으로 내렸다.

관측 이래 일강수량 극값 1위 경신 지점은 군산 372.8 mm(7.14.), 문경 189.8 mm(7.14.) 등이다.

2018년과 2023년 7~8월 (위) 200hPa(고도 약 12km 상공) 지위고도 및 편차

 

태풍‘카눈’영향 많은 비

여름철 북서태평양 해상에서 총 10개(평년 여름철 11개)의 태풍이 발생했고, 이 중 제6호 태풍‘카눈’1개가 우리나라에 영향(평년 여름철 2.5개 영향)을 주어 8월 9~10일 강한 바람과 함께 많은 비가 내렸다.

또한, 태풍 상륙 당일(8월 10일) 속초에서는 하루동안 368.7 mm의 많은 비가 내려, 관측이래 일가수량 극값 1위를 기록했다.

관측 이래 일강수량 극값 1위 경신 지점은 속초 368.7 mm(8.10.) 였다.

2023년 여름철 우리나라 영향 태풍 경로 및 2023년 8월 초 해수면 온도

 

특히, 태풍 ‘카눈’은 북상 직전까지 뚜렷한 지향류4)가 없어 ‘Z’자형으로 이동했고, 또한 거제 부근에 상륙한 이후에는 우리나라 동쪽에서 발달한 북태평양고기압 가장자리에서 남풍계열의 지향류 영향을 받아 태풍은 우리나라를 남북으로 종단하는 경로를 보였다.

상륙 당시(8월 10일 09시 20분경) 태풍 중심 부근 관측 해면기압: 영도(부산) 981.5 hPa였다.

유희동 기상청장은 “올여름은 장마철 기록적인 비가 내렸고, 한반도를 종단하는 태풍의 영향을 받는 등 기후변화의 영향을 실감했다.”며, “기후위기 속에서 기후변화에 대한 감시 및 분석을 강화하고, 기후분석 정보가 미래 방재 기상정보로서 재해를 예방하는 데 활용될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하겠다.”고 밝혔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0 / 40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주요기사
이슈포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