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과원, 무지개송어 합동이동병원 운영
상태바
수과원, 무지개송어 합동이동병원 운영
  • 고현준
  • 승인 2023.04.06 22:53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해양수산부 국립수산과학원(원장 우동식, 이하 수과원)은 6일 강원도의 대표 양식어종인 무지개송어를 대상으로 지난 5일-6일 양일간 영월, 평창에서 이동병원을 실시했다고 밝혔다.

이번 이동병원은 수과원, 강원지역 수산질병관리원 2개소, 강원도 환동해본부, (사)한국송어양식협회 등 국내 수산분야 질병 전문가들과 생산자 단체가 함께 참여해 합동으로 운영했다.

수과원은 “봄철에 면역력이 떨어진 물고기에 대해 사전 질병검사를 실시함으로써, 질병발생을 사전에 예방하여 건강한 어류를 생산하는 ‘예방양식 체계’를 마련하고자 했다”고 밝혔다.

 

한편 무지개송어는 내수면 양식어종 중 뱀장어에 이어 두 번째로 생산량이 많은 어종으로, 연어류 소비가 증가하는 가운데 수입대체 품목으로도 관심이 높은 품종이다.

어류이동병원은 수과원이 지난 2000년부터 진료의 손길이 필요한 양식장을 대상으로 운영해 왔으며, 최근에는 일부 지자체에서도 자체적으로 이동병원을 운영할 정도로 필요성이 높아졌다.

하지만 내수면 양식장에 대한 진료 서비스는 여전히 부족한 실정이다.

수과원은 “이번 질병검사에 참여한 양식장 중 기생충 질병에 대해서는 현장에서 진단결과를 바로 전달했으며, 세균·바이러스 등 감염성 질병에 대해서는 정밀검사가 완료되는 즉시 개별적으로 결과를 통보할 예정”이라고 전했다.

 

수과원은 추가적인 질병과 관련한 문의는 수과원 질병정보 공유 플랫폼인 스마트피쉬닥터(SFiD, 스피드)를 통해 어업인의 궁금증을 해소할 수 있다고 밝혔다.

이어 “이번 질병검사를 통해 분리·수집된 병원체는 수과원(병리연구과)에서 운영하는 한국수산미생물자원은행(KoCAM)에 등록·보존하여 질병 신속진단기술개발, 맞춤형 백신개발 등 질병 연구를 위해 활용할 계획”이라고 덧붙였다.

조미영 국립수산과학원 병리연구과장은 “해산 양식장에 비해 대면진료 서비스가 부족한 내수면 양식장의 질병예방을 위해 앞으로도 지자체, 민간진료기관과 함께하는 합동이동병원을 확대해 나가겠다”고 밝혔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0 / 40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주요기사
이슈포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