멸종위기 II급 '전주물꼬리풀' 자생지 복원
상태바
멸종위기 II급 '전주물꼬리풀' 자생지 복원
  • 고현준 기자
  • 승인 2013.07.19 16:56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여미지식물원 '대량증식 성공, 수산리 수산한못에 복원' 밝혀

 

전주물꼬리풀

 

우리나라에서 제주도 동부지역에 소수 분포하는 전주물꼬리풀 자생지 복원사업이 추진된다.
 

19일 부국개발(주) 여미지식물원은 환경부 지정 서식지외 보전기관으로 멸종위기 야생식물의 종보전사업을 추진중이라며 오는 23일, 환경부 지정 멸종위기 야생식물 II급인 전주물꼬리풀 자생지 보전을 위해 서귀포시 성산읍 수산리 한못 습지 일대에 200여본의 전주물꼬리풀을 복원할 계획이라고 발표했다.


전주물꼬리풀은 전라북도 전주, 제주도 동북지역에서 소수의 개체가 분포한다고 알려져 있으나 현재에는 전주지역 개체는 생육이 확인되지 않고 있으며 제주도 동부지역에서만 제한적으로 생육하고 있는 것으로 보고 되고 있다.


이런 현실을 반영, 지난 2012년도 5월 31일 환경부는 전주물꼬리풀을 멸종위기야생식물 Ⅱ급식물로 지정, 법으로 보호 하고 있으나 자생지에 대한 보호 대책은 없어 근본적인 대책이 필요하다.


이에 여미지식물원은 "전주물꼬리풀 자생지 복원이 매우 시급한 것으로 판단하여 자생지환경에 대한 정밀조사를 2012년 ~ 2013년 동안 5회 이상실시했으며, 이 조사결과를 가지고 많은 대체 자생지를 비교조사, 복원지(성산읍 수산리 수산한못)를 선정했다"고 밝혔다.


이번에 식재할 전주물꼬리풀은 2010년 서귀포시 성산읍 수산리에서 개체를 채취, 근경번식을 통해 대량 증식에 성공한 개체들이다.


한편 여미지식물원은 1989년 개원 이후 꾸준히 멸종위기식물의 인공증식기술 개발에 관심을 기울여 왔으며, 지난 2003년에는 환경부로부터 ‘서식지외보전기관’으로 지정된 바 있다.


특히 죽백란, 한란, 솔잎란, 황근 등 멸종위기 야생식물 10종에 대한 인공증식기술을 개발하고, 증식된 개체를 제주도 내의 서식지에 복원하는 사업을 집중적으로 수행하고 있다.


또한 갯취(’03년, 500본), 죽절초(’04년, 2,000본), 황근(’05년, 1,000본), 삼백초(’06년, 5,000본), 황근(’07년, 1,000본), 죽백란(’08년, 500본), 비양나무(’09년, 300본),죽절초(’10년, 500본), 황근(’11년, 300본), 박달목서(’12년, 150본)의 자생지 복원사업을 연차적으로 진행해 왔으며, 이들 복원지에 대한 지속적인 모니터링 및 추가 식재작업을 해오고 있다.


이번 전주물꼬리풀 자생지복원사업을 통해 멸종위기식물의 현지내 보전기능이 확대되어 우리 고유의 생물다양성이 제고될 것으로 기대된다.

 이와 관련 여미지식물원   강창훈 종보전 복원사업담당은 "수산리 지역은 원래 전주물꼬리풀의 자생지이며 자생지를 확장사키기 위해 수산한못에 복원하는 것"이라고 말하고 "예전에 전주에서 발견되던 전주물꼬리풀은 지금은 그 지역에서는 발견되지 않는 것으로 보고되고 있어 이번 자생지복원의 의미"를  강조했다.
 

이같이 습지식물은 환경에 민감하게 반응하기 때문에 자꾸 개발에 밀려 자생지를 점점 잃어가고 있어 안타깝다는 설명.

또한 "해안변에 위치한 황근자생지(멸종위기2급)의 경우도 해안도로가 만들어진 곳이 바로 황근자생지 위치와 일치하기 때문에 자생지가 자꾸 밀려나고 있는 것"이라며  "이같은 식물의 특성상 멸종위기 동식물에 대한 관리강화방안을 마련해야 한다"고 지적했다. 

 

 

 

전주물꼬리풀 특성


국 명: 전주물꼬리풀
학 명: Dysophylla yatabeana Makino
과 명: 꿀풀과(Lamiaceae)

습지에서 자라는 다년초로서 높이 30 - 50cm이며 밑부분이 옆으로 벋으면서 지하경이 발달하고 곧추 자란다.


8 - 10월에 꽃이 피며 연한 분홍색이고 원줄기 끝의 원추상화서에 달리며 소화경은 없다. 열매는 분과이며 달걀모양이고 흑갈색이며 길이 0.7mm정도로서 둔한 능선이 있다.


우리나라에서는 제주도, 세계적으로는 일본, 만주, 우수리지역에서 분포한다. 습지 가장자리지역에서 출현하며 토양층이 매우 잘 발달되어 있는 곳에서 분포한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0 / 40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주요기사
이슈포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