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재선충병 확산, 본부장 독선이 빚은 결과”
상태바
“재선충병 확산, 본부장 독선이 빚은 결과”
  • 김태홍 기자
  • 승인 2014.11.04 17:20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윤석 울산생명의숲 사무국장, ‘상설방제 정책으로 전환해야 한다’ 강조

 
제주자치도 재선충병 확산은 본부장 독선과 방제전략 오류라는 지적이다.


(사)생명의숲국민운동, 제주환경운동연합, (사)곶자왈사람들(이하 환경단체)은 4일 오후 2시, 한라수목원 자연생태체험학습관에서 ‘소나무재선충병의 합리적 대응방안을 찾기 위한 토론회’를 개최했다.


이날 윤석 울산생명의숲 사무국장은 지난 1월 제주도 소나무재선충병 방제현황 및 진단을 위해 감염 지역과 훈증·소각·파쇄·매몰·피해복구 지역을 모니터링한 결과에서 이 같이 지적했다.

윤석 울산생명의숲 사무국장

윤석 사무국장은 “지난 2013년 상반기 예찰 결과 감염의심목을 20여만 그루로 추정, 인력, 장비, 예산을 수립 했으나 하반기에는 30여만 그루로 재차 수정, 2014년 상반기에는 최종 작업결과 감염목이 40여만 그루로 다시 잡는 등 총체적으로 부실했다”고 지적했다.


윤 사무국장은 방제전략과 방법에 대해서는 “지난 2004년~2012년까지 방제방법을 훈증 중심으로 해왔으나, 지난 2013년 훈증방법이 제주도의 토질과 기후여건상 부적합 하다는 지적에 따라 방제방법을 바꿨다”고 지적했다.


그러면서 그는 “2012년 이전의 훈증방법을 통한 방제가 불완전했을 가능성이 매우 높다”며 “이로 인해 재발 또는 확산의 계기로 작용했을 가능성이 높다”고 지적했다.


윤 국장은 또 “방제업체와 파쇄업체의 작업 연계성 부족, 운반 문제, 매몰지 확보 어려움 등 한계에 봉착했다"고 지적했다.

윤 국장은 "제주도 소나무재선충병 방제시스템 실패원인은 부정확한 예찰과 방제물량 계산, 기술자의견 무시한 지역본부장의 독선과 방제전략의 오류, 지역에 적합하지 않은 방제방법 적용, 비전문적인 인력 투입과 안전사고 발생, 생태경관 복원 원칙에서 벗어난 복구 조림, 감시 시스템 부재, 모니터링과 감시 시스템 부재 등 부실한 방제원인으로 실패한 것“이라고 지적했다.


윤 국장은 “현재의 긴급방제 및 사후 정책을 사전예방 및 상설방제 정책으로 전환해야 하고, 확산과 방제에 대한 중앙정부의 책임을 강화하고, 정책실패에 대한 책임을 질 수 있도록 해야 한다”며 “방제를 위해 필요한 인력과 예산 등에 대한 중앙정부의 지원의무를 강화하고, 국민들의 소나무재선충병 인식향상을 위한 정책 홍보를 강화해야 한다”고 말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0 / 40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주요기사
이슈포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