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 땅 우리 생물의 공식기록,국가생물종 목록 6만여 종 달성..생물주권 근거 강화
상태바
우리 땅 우리 생물의 공식기록,국가생물종 목록 6만여 종 달성..생물주권 근거 강화
  • 고현준
  • 승인 2024.01.30 15:15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국립생물자원관, 한반도 서식 추정 생물종수 10만종의 60% 밝혀..
제주 지명(jejuensis) 포함 175종 등 학명에 우리나라 지역 특색 반영 생물종 포함
Calanthe aristulifera Rchb. f.  신안새우난초

 

우리 땅 우리 생물의 공식기록,인 국가생물종 목록이 6만여 종을 달성했다.

환경부 소속 국립생물자원관(관장 서민환)은 30일 지난해 12월 말 기준 ‘국가생물종목록’에 등록된 생물종수가 ‘국가생물자원 종합목록(인벤토리) 구축사업’ 추진 16년 만에 6만 10종으로 증가했다고 밝혔다.

국립생물자원관은 2007년 개관 전까지 2만 9,916종으로 알려진 자생생물종을 △신규 생물종 발굴 대규모 연구사업, △미개척 분류군 중심의 집중 발굴, △나고야의정서 발효로 생물자원에 대한 중요성 확산, △해외 연구자의 적극 활용 등의 연구 효율화 등을 추진하여, 국가생물종목록에 등재된 생물종수를 2배 이상 늘렸다.

이는 국가생물종목록 구축을 총괄하는 국립생물자원관이 환경부 자생생물 조사발굴 사업을 통해 새롭게 찾은 1만 2천여 종과 해양수산부, 과학기술정보통신부, 농림축산식품부, 교육부 사업 결과에서 나온 학술 문헌을 조사 분석해 1만 8천여 종을 추가한 것이다.

Coreoleuciscus aeruginos Song and Bang, 참쉬리

 

국가생물종 6만 10종을 분류군별로 살펴보면 △무척추동물(곤충 포함) 3만 1,603종, △조류(藻類) 6,653종, △균류 6,291종, △식물 5,759종, △원핵생물 5,039종, △원생동물 2,575종, △척추동물 2,090종이며, 미개척 분류군 중심의 집중 발굴로 목록 구축이 시작된 이후, 무척추동물이 1만 5,014종, 균류 4,666종, 식물 1,097종이 증가했다.

국내 생물다양성 현황에 영향을 미친 생물종에는 2007년과 2011년 세계 최초로 생물분류체계에서 상위 체계에 속하는 원핵생물의 핌브리모나디아 강(Class)과 오피투탈레스 목(Order)을 발견한 사례가 있다.

지난 2014년에는 최상위 분류체계인 원핵생물의 미기록 계인 고세균 계(Kingdom)를 국립생물자원관 연구진이 국내 최초로 학계에 보고해 국내 분류연구의 위상을 세계적으로 한 단계 높였다.

이는 상위단계부터 계(Kingdom)-문(Phylum)-강(Class)-목(Order)-과(Family)-속(Genus)- 종(Species)의 순서다.

주목할 만한 신종이자 고유종에는 흑산도(전남 신안군)에서만 자생하는 난초과 식물로 2009년에 발견된 ‘신안새우난초’가 있다.

이 식물은 개체수 감소 우려로 2017년 멸종위기 야생생물 Ⅱ급으로 지정됐다. 섬진강과 낙동강 중상류에서만 서식하는 것으로 2015년에 밝혀진 신종 ‘참쉬리’는 우리나라 고유의 잉어과 민물고기라는 의미를 가진다.

Saccharomyces cerevisiae (Desm.) Meyen 효모

 

신종에 붙이는 학명은 이전까지 유럽, 일본, 중국 등 외국학자들이 주로 지어 왔으나 지난 2007년 자생생물 조사발굴 사업 이후 국내 학자가 명명한 생물종도 2천여 종에서 5천여 종으로 2배 이상 증가했다.

특히 독도 지명(dokdoensis)을 포함한 40종과 제주 지명(jejuensis) 포함한 175종 등 학명에 우리나라 지역의 특색을 반영한 생물종도 포함돼 있다.

학명이란 생물 이름의 세계적인 통용을 위해 국제명명규약에서 규정한 표기법에 따른 이름. 식물학자 린네가 제안한 ‘속명+종소명’의 이명법(二名法) 체계에 따라 라틴어 학술명으로 표기한다.

자생생물 6만 10종 중에서는 새로운 생물산업의 소재로 유용하게 활용될 가능성도 크다.

Polyporus ulleungus H. Lee, N.K. Kim & Y.W. Lim, sp. nov. 울릉구멍장이버섯

 

지난 2022년 지리산 산수유 열매에서 효모(Saccharomyces cerevisiae)를 분리해 같은 해 2월 국내 주류용 효모 보급업계에 기술을 이전해 현재 전국 전통주 제조업체 32곳에서 막걸리 제조에 사용하고 있다.

또한 지난 2017년에 울릉도에서 신종으로 발견된 ‘울릉구멍장이버섯’은 항산화 물질로 2022년 특허를 등록했고, 2022년 원핵생물 할로박테리움 휴베이엔스(Halobacterium hubeiense)를 염전에서 발견해 이 생물이 지닌 항산화 색소(박테리오루베린)에 대한 후속 연구를 진행하고 있다.

서민환 국립생물자원관장은 “이번에 구축된 6만종의 목록은 국내 생물 추정 종인 10만종 중에 60%가 목록화된 것으로 비로소 한반도의 생물다양성의 구성요소인 생물종 현황 파악의 토대가 마련되었다는 데에 큰 의미가 있다”면서, “국가생물종목록 구축은 우리나라의 연구역량과 자연환경보전 노력이 결합된 결과이며, 국제사회에서 통용되는 생물 소재 정보로 생물주권 주장의 초석이 될 것”이라고 밝혔다.

 

 

  국가생물종목록 구축현황(‘23년 12월 기준)

 

대분류군

소분류군

종 수

대분류군

소분류군

종 수

동 물

(33,693)

척추

동물

(2,090)

포유류

125

조류(藻類)

(6,653)

녹조류

854

윤조류

1,001

조류(鳥類)

552

홍조류

670

양서류

28

돌말류

2,323

파충류

36

와편모조류

544

어 류

1,349

은편모조류

17

무척추

동물

(31,603)

구두

3

완족

15

대롱편모조류

417

극피

237

유선형

8

착편모조류

13

내항

1

유즐

11

능형

1

유형

3

황적조류

2

두문

25

윤형

381

유글레나조류

398

모악

41

자포

411

남조류

414

복모

48

추형

1

원생동물

(2,575)

유공충류

2,575

선형

641

태형

235

섬모충류

성구

13

편형

240

연체

2,037

해면

432

첨복포자충류

완보

71

환형

713

기타

미삭

139

절지

동물

곤충

20,710

균류

/지의류

(6,291)

균류

5,054

곤충제외

5,186

지의류

1,237

식 물

(5,759)

관속식물

4,641

원핵생물

(5,039)

세균류

4,989

고세균류

50

선태류

1,118

총 60,010종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0 / 40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주요기사
이슈포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