평년보다 늦은 장마, 적은 강수량
상태바
평년보다 늦은 장마, 적은 강수량
  • 고현준 기자
  • 승인 2014.08.02 05:16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기상청 남부·중부지방 평년보다 8~9일 장마 늦게 시작

 

 

▲ 장마기간 강수량(㎜) 및 강수량 평비(%)

올해 장마는 남부·중부지방에서 평년보다 8~9일 장마가 늦게 시작됐고, 제주도를 제외한 전국에서 평년대비 강수량은 40%내외로 적었다는 분석이 나왔다.


1일 기상청은 2014년 장마현황을 발표하고 장마는 제주도에서 6월 17일에 시작, 7월 28일에 종료됐으며, 남부·중부지방에서는 7월 2일에 시작, 7월 29일에 종료됐다고 밝혔다.

장마기간은 제주도, 남부지방, 중부지방에서 각각 42일, 28일, 28일로 제주도는 평년보다 길었으나, 남부지방과 중부지방은 평년보다 짧았다는 것.

장마기간 강수량은 남부지방과 중부지방에서 각각 145.9㎜와 145.4㎜로 평년(각각 348.6㎜와 366.4㎜)보다 적었으나, 제주도에서는 441.5㎜로 평년(398.6㎜)보다 많았다.

특히 남부지방과 중부지방 장마기간 강수량은 73년 이후 각각 최소 5위와 4위를 기록했다.

장마 시종에 대해 기상청은 올해 장마는 제주도에서 평년보다 일찍 시작했고, 남부와 중부지방에서는 평년보다 늦게 시작했다고 밝혔다.

제 7호 태풍 하기비스(HAGIBIS)가 중국 남부에 상륙, 열대저압부로 약화돼 빠르게 동북동진하는 과정에서 장마전선이 제주도 남쪽 먼 바다까지 일시적으로 북상, 6월 17일 제주도에 장마가 시작됐다는 것이다.

남부지방과 중부지방은 북태평양고기압이 확장하면서 장마전선이 북상, 7월 2일 장마가 시작됐다.

제 12호 태풍 나크리(NAKRI)가 북상하면서 북태평양고기압이 북쪽으로 확장됨에 따라 제주도에서는 28일, 남부·중부지방에서는 29일에 장마가 종료됐다.

장마 시작이 늦었던 원인은 6월 중순부터 바이칼호 부근에 발달한 저지 기압능과 베링해 부근에 발달한 상층 기압능의 영향으로 대기가 정체된 가운데 우리나라 북쪽으로 찬 공기를 동반한 상층 장파골이 남하, 장마전선의 북상이 지연됐다는 분석.

6월 말까지는 상층 단파골이 지날 때 일시적으로 장마전선이 제주도부근 남쪽까지 북상, 제주도에 영향을 주었다.

강수량이 적었던 원인은 우리나라 주변에서 북태평양고기압의 세력이 강하지 않아 장마전선이 북상하지 못하고 주로 제주도 부근에 위치했기 때문이라는 설명이다.

장마기간 동안 필리핀 부근 북서태평양에서의 대류활동이 평년보다 강했으며, 원격상관을 통해 우리나라 부근에 고기압성 순환이 강화되어 강수량이 적었다.


북태평양고기압이 서쪽으로 중국 남동부까지 확장함에 따라, 남쪽으로부터 우리나라로 수증기가 유입되기 어려운 기압계가 형성되어 장마전선이 활성화되지 못했다.

기상청은 향후 강수전망에 대해 8월 4~5일까지 태풍의 영향을 받아 전국에 비가 오겠고, 이후 북태평양고기압의 영향을 주로 받아 무더운 날씨를 보이겠으며, 대기불안정에 의한 국지적인 호우가 발생할 가능성이 있겠다고 예보했다.
 

 

올해와 평년(1981~2010년)의 장마 시작일과 종료일 및 기간

 

올해

평년

시작

종료

기간(일)

시작

종료

기간(일)

중부지방

7.2

7.29

28

6.24~25

7.24~25

32

남부지방

7.2

7.29

28

6.23

7.23~24

32

제주도

6.17

7.28

42

6.19~20

7.20~21

32

 

 

올해와 평년(1981~2010년)의 장마기간 강수일수 및 강수량

 

 

올해

평년

강수일수(일)

강수량(㎜)

강수량평비(%)

강수일수(일)

강수량(㎜)

중부지방

12.9

145.4

40

17.2

366.4

남부지방

15.7

145.9

42

17.1

348.6

제주도

21

441.5

111

18.3

398.6

전국

14.8

158.2

44

17.2

357.9

※ 전국: 47개 지점 평균(중부 19개 지점, 남부 26개 지점, 제주도 2개 지점)

 

 

< 역대 장마기간 강수량 최저 순위 (1973년 이후) >

 

중부지방

남부지방

1위

1973년 86.3㎜

1973년 61.0㎜

2위

1999년 102.1㎜

1994년 75.0㎜

3위

1976년 126.7㎜

1976년 87.0㎜

4위

2014년 145.4㎜

1977년 116.0㎜

5위

1982년 158.6㎜

2014년 145.9㎜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0 / 40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주요기사
이슈포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