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 원전에서 사고나면 최대 피해지역은 한반도"
상태바
"중국 원전에서 사고나면 최대 피해지역은 한반도"
  • 김태홍 기자
  • 승인 2017.04.26 15:33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체르노빌 핵사고의 최대 피해지역은 이웃나라 벨라루스

 
환경보건시민센터는 체르노빌 핵사고 31주기를 맞는 26일 낮 12시 광화문 네거리에서 캠페인을 진행했다.

환경보건시민센터는 이날 성명을 통해 "현재 가동중인 37기의 중국 핵발전소에서 방사능 누출사고가 날 경우 한반도가 가장 큰 영향을 받을 것"이라며 "오늘은 체르노빌 핵사고가 발생한 지 31년이 되는 날"이라고 했다. 

그러면서 "구소련 우크라이나의 체르노빌 핵발전소 원자로가 폭발하고 녹아 내리는 노심용융 원전사고의 피 해를 가장 많이 받은 곳은 이웃나라 벨라루스(Belarus)였다. 우크라이나의 수도 키에프는 체르노빌 에서 동남쪽으로 100키로미터 이상 떨어져 있었지만 벨라루스는 바로 인접해 있었다"고 했다.

성명은 "사고 시점에 비바람이 불었는데 체르노빌에서 벨라루스로 향했다. 이 때문에 체르노빌서 방출된 방사능의 70%가 벨라루스에 낙진으로 떨어졌고 전국토의 23%가 심각한 수준으로 세슘137과 같 은 방사능에 오염됐다"며 "체르노빌 사고영향으로 폐쇄된 마을은 우크라이나의 경우 161개지만 벨 라루스는 3배가 넘는 485개다. 벨라루스의 방사능 오염지역에서 34만명이 거주지를 떠나 원전피 난민이 되었는데 오염지역에선 아직도 110만명이 살고 있다"고 말했다.

성명은 "6년 전 일본 후쿠시마에서 원전사고가 터졌을 때 방사능 낙진이 한반도에 영향을 줄지 여부에 대해 사람들이 우려했다. 정부는 편서풍이 서에서 동으로 불기 때문에 영향이 없다고 단언했다. 하지만 북극 기류의 영향으로 한반도에서도 세슘이 검출돼 후쿠시마 방사능 바람이 불어온 사실이 확인됐다"면서 "이후 후쿠시마 원전사고 수습이 제대로 진행되지 않으면서 엄청난 량의 방사능 오염 수가 바다로 흘러들고 있고 이 때문에 수산물의 방사능오염 걱정이 끊이지 않고 있고, 후쿠시마 사태 때 사람들이 새삼 깨달은 바는 서해 바로 너머에 많은 수의 중국원전이 가동중이고 또 건설 중이라는 사실이었다"고 했다.

성명은 "후쿠시마의 방사능낙진이 편서풍 때문에 한반도에 영향을 거의 주지 않았다면, 중국에서 원전사고가 발생하면 어떻게 될까? 차마 생각하기도 싫고 입에 올리기도 싫은 가정이지만 한반도 동쪽 의 후쿠시마 사태는 당시 신문과 방송으로 하여금 한반도 서쪽의 중국원전의 사고가능성에 주목 하게 했다"며 " 국내 원전가동중단 사고가 발생할 때마다 문제없다는 정부발표를 그대로 전하며 환경 단체들의 괜한 트집을 잡는다는 투로 일관하던 언론들이 중국 원전의 사고가능성에 대해서는 앞 다투어 보도했다"고 강조했다.

그러면서 "2011년 후쿠시마 사고 직후 언론이 전한 내용들은 중국 원전에서 사고가 발생 하고 방사능이 유출되면 편서풍을 타고 빠르면 반나절, 길어야 3일 이내에 한반도로 날아온다는 것"이라며 "2009년 한국원자력안전기술원이 중국 중서부에 위치한 원전에서 사고가 발생하여 방사능이 유출 되는 상황을 가정하여 한반도로의 이동영향을 모의 분석했는데 사흘 만에 제주도를 포함한 한반 도 전역이 방사성 물질로 뒤덮였다"고 주장했다.

성명은 기상청 관계자가 ‘황사가 중국 중서부에서 한반도까지 오는데 2~3일 걸리니, 중국 동해안 원전에 서 방사성 물질이 누출될 경우 반나절 만에 한반도로 날아올 수 있다’라고 말했다"며 "2011년 3월 서울대 지구환경공학부가 중국의 원전사고시 한반도영향 시뮬레이션을 실시했는데, 중국북쪽에 위치한 원전사고시 대기확산으로 인해 한반도 전역이 짧은 시간 내에 오염영향권에 들고, 중국중부에 위치한 원전사고시 한반도 중부이남지역이 오염영향권에 들어오며, 중국남부에 위치한 원전사고의 경우에는 바닷물이 대만해협에서 대한해협으로 이어지는 대마난류를 통해 두 달 후부터 제주부터 영향을 주기 시작해 7개월 뒤에는 서해와 동해 전역에 도달한다 했다"고 말했다.

"국제원자력기구(IAEA)의 원자로정보시스템(PRIS)에 2017년4월25일자로 업데이트된 자료에 따르면, 중국원전은 현재 모두 37기의 원전이 가동중이고 20기가 건설중이다.  모두 비교적 최근에 가동하고 건설중이어서 지금까지 폐로는 단 한 기도 없다"고 지적한 성명은 "중국원전의 방사능누출사고 가능성은 지진과 같은 자연재해 가능성과 원전자체의 안전시설 미비 및 조작실수와 같은 인재(人災) 가능성이다. 자연재해는 후쿠시마에서와 같은 대형 지진해일(쓰나 미)과 중국 대륙을 가로지르는 여러 활성단층에서 발생하는 지진 그리고 백두산 화산폭발 등 세 가지가 거론된다. 지진해일의 경우 수심이 깊은 일본 오키나와 해역이나 대만 쪽 바다에서 해저 지진이 발생하면 대형 지진해일이 원전이 밀집한 중국동부해안에 밀어닥칠 수 있다"고 주장했다.

성명은 "아시아 해역에서 발생한 최근의 대형 지진해일은 2004년 인도네시아 서쪽 바다에서 발생한 진도 8.9의 기록적인 지진에 의한 것으로 25만명이 사망하고 3만명이 실종한 사건과 2011년 후쿠시마 앞바다에서 발생한 진도 9.0 지진에 의한 지진해일"이라며 "중국에 직접적인 영향을 주진 않았지만 중국해안에 밀집한 원전안전을 우려할 만한 상황이다. 내륙지진의 경우 2008년 사천성의 대지진 때 8만6천명이 사망했고 2013년에도 같은 곳에서 지진이 발생한 바 있다. 중국남부 원전의 경우 대기방향이 한반도로부터 떨어져 있지만 태풍시기일 경우 한반도가 직접적인 영향권에 속한다"고 강조했다.

성명은 "최근 3개월간 한반도는 미세먼지 대기오염으로 몸살을 앓고 있다. 한국 자체의 오염발생도 크지만 편서풍을 타고 중국으로부터 날아오는 미세먼지의 량도 상당한 비중을 차지한다"며 "중국에 우후죽순으로 들어서고 가동되는 원전에서 사고가 발생하면 어떻게 될까?"라며 우려했다.

성명은 "방사능오염상황은 대기오염문제와 차원이 다른 이야기다. 끔찍한 재앙이 될 것이다. 체르노빌과 후쿠시마 핵사고가 그러했듯 사고는 자연조건과 인적조건이 겹쳐서 일어난다"며 "중국원전사고에 대한 대비책 을 마련할 때 최악의 시나리오를 고려해야 하는 이유다. 후쿠시마 핵참사가 발생한지 6년째이고 체르노빌 핵사고는 오늘이 31주기다. 중국 원전문제에 대비하지 않으면 한반도는 제2의 벨라루스가 될 수 있다"고 강조했다.

성명은 "대선후보들은 중국원전에 대한 우려의 입장을 표명하고, 차기 정부는 원전안전대사직을 신설하고 한반도 인접국의 원전안전문제를 적극다루고 대비해야 한다"고 촉구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0 / 40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주요기사
이슈포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