식물이름에 붙여진 특별한 고부관계..
상태바
식물이름에 붙여진 특별한 고부관계..
  • 고현준 기자
  • 승인 2018.11.09 10:22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산림청, ‘산자고(山慈姑)’와 ‘며느리밑씻개’의 유래
▲ 산자고(사진=김평일 한라야생화회 회장 제공)

 

우리나라에 자생하는 수많은 식물들 중 동물의 신체 부위를 닮거나 독특한 냄새를 닮아 붙여진 식물이름이 상당히 많다.

예를 들면, 식물 뿌리냄새가 노루오줌 냄새와 비슷하다 하여 붙여진‘노루오줌’, 나무의 줄기가 마치 사슴의 뿔인 녹각과 닮았다 해서 붙여진 ‘노각나무’, 그 외에 범부채, 매발톱, 꿩의다리 등 다양한 식물들이 있다.

그 중에 사람과의 관계, 특히 시어머니와 며느리의 관계인 고부관계의 좋고 나쁨을 미루어 짐작할 수 있는 식물이 있어 그 식물이 오늘의 이름을 갖게 된 유래를 소개하고자 한다.

그 주인공이 바로 ‘산자고(山慈姑)’와 ‘며느리밑씻개’이다.

우선 이름만 들어서는 그 뜻을 잘 알지 못하는 산자고는 봄에 곱고, 소담스럽게 꽃을 피우는 백합과에 속하는 여러해살이 풀이며, 학명은 Tulipa deulis (Miq.) Baker이다. edulis는‘먹을 수 있는’이라는 뜻을 가지며, 실제로 비늘줄기는 장아찌나 샐러드의 재료로 이용했으며 한의학에서는 종기, 부스럼, 임파선염 등을 치료하는데 매우 유용한 식물이다.

이 산자고를 한자로「山慈姑」라고 쓰는데 그 뜻은‘산에 있는 자애로운 시어머니’란 의미를 갖고 있다.

아주 먼 옛날, 어느 산골에 마음씨 고운 노모가 살고 있었는데 남편이 먼저 세상을 떠나고, 딸 둘은 먼저 시집을 보낸 후 막내인 외아들과 함께 살다보니 늙은 어머니를 부양하느라 가난한 산골에 사는 총각에게 시집을 오겠다는 처녀가 없어서 전전긍긍하던 어머니는 아들을 장가보내기 위해 근처 큰 마을에 몇 번이나 매파를 보내보았지만 결과는 마찬가지였다.

그렇게 몇 년이 지나 늙은 어머니의 시름이 깊어만 가던 어느 봄 날, 밭에서 일하던 늙은 어머니의 눈에 짐 보따리를 든 처녀가 나타났다.

이 처녀는 산 너머에서 홀아버지를 모시고 살았고 역시 시집을 가지 못하고 살던 중 아버지가 돌아가시면서“내가 죽으면 산 너머 외딴집에 시집을 들어라”는 유언을 남기고 돌아가셨다고 한다.

이 효성 깊은 처녀 또한 늙은 아비를 모시다 혼사를 치르지 못했던 것이다. 이렇게 짝 지워진 아들과 며느리를 볼 때마다 노모의 마음은 그렇게 흐뭇할 수가 없었고 아들과 며느리의 효성도 지극했다고 한다.

그러던 이듬해 초봄, 이 고운 며느리의 등에 아주 고약한 등창이 생겨 며느리가 너무 아픈 등창 때문에 여간 고생을 하는 것이 아니었다.

가까운 곳에 의원도 없고 마땅한 치료를 해줄 수가 없어 애태우던 이 시어머니는 며느리의 등창을 치료할 약재를 찾아 막연하게 산 속을 헤매게 되었는데 그렇게 며칠이 지난 어느 날, 시어머니에게 우연히 양지 바른 산등성이에서 별처럼 예쁘게 생긴 작은 꽃이 눈에 띄었다.

아직 꽃이 피기에는 이른 계절인데 예쁜 꽃이 피어 있는 것이 신기하여 살펴보고 있는데, 그 작은 꽃 속에서 며느리의 등창난 상처가 떠오르는 것이 아닌가. 어머니는 이상하게 생각하고 그 뿌리를 캐다가 으깨어 며느리의 등창에 붙여주었는데 고름이 흐르고 짓물러 며느리를 괴롭히던 고약한 등창이 며칠 만에 감쪽같이 치료가 되어 이때부터 이 꽃을 산자고(山慈姑)라고 부르게 되었다고 한다.

그러나 고부(姑婦)관계가 산자고의 전설에 얽힌 관계처럼 애틋하고 가슴 찡한 관계만 존재하는 것이 아니라 오히려 심각해져서 신문의 사회면을 장식하거나 저녁뉴스에 보도되기도 하는 것이 오늘날의 일들이기도 하다.

▲ 며느리밑씻개(사진=김평일 한라야생화회 회장 제공)

무더운 여름, 우리나라 산과 들에서 흔히 관찰할 수 있는 덩굴식물인 ‘며느리밑씻개’(Persicaria senticosa (Meisn.) H. Gross ex Nakai.)는 마디풀과에 속하는 한해살이풀로, 이름만 들어봐도 그 의미와 상황을 어느 정도는 미루어 짐작할 수 있는 식물이다.

사진에서 보는 것처럼 식물의 줄기에 매우 날카롭고 따가운 가시들이 매달려 있고, 맛을 보면 시큼한 맛으로 인해 몸이 시키지 않아도 금 새 뒤틀리고 만다.

알려진 정확한 유래는 알 수는 없지만, 옛날 밭일을 하던 시어머니와 며느리가 있었는데, 시어머니가 큰 볼일을 먼저보고 나중에 며느리가 볼일을 보게 되었는데 며느리가 볼일을 보러 들어갔을 때는 이미 밑 닦이를 다써버린 곤란한 상황이었다.

그래서 대사를 치룬 며느리가 뒤처리를 하기 위해 시어머니를 불러 밑 닦을 것을 달라고 했더니 평상시 며느리의 행동거지를 너무 못마땅하게 여겼던 시어머니가 줄기에 가시가 가득한 이 식물을 잔득 뜯어다가 며느리에게 준 것에서 유래가 되어‘며느리밑씻개’가 되었다고 한다.

이처럼 최근 식물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면서 산림청 산림교육원‘숲 해설가양성과정’의 인기가 매우 높다.

한반도에 자생하는 식물들이 수천 종에 이른다. 그 식물들을 알아가는 데 어려움이 있지만 그래도 그 식물이 현재의 이름을 갖기까지의 유래를 이해하고 학습한다면 식물공부에 재미를 더하지 않을까 싶다.

 

(자료제공=산림청)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0 / 40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주요기사
이슈포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