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주 인구소멸 위험(?).. 청년이 떠나간다
상태바
제주 인구소멸 위험(?).. 청년이 떠나간다
  • 고현준 기자
  • 승인 2018.12.13 10:15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제주연구원 고태호 연구위원 일자리, 문화, 청년주택 등 확충 제안

 

 

▲ 2020~2040년 제주지역 인구피라미드 변화

지난 4월 이후 제주지역 청년층 인구의 전출이 증가하고 제주지역으로의 순이동인구 증가세가 둔화되고 있어 청년들이 제주에서 편안히 잘 살 수 있는 대책을 마련할 필요가 있다는 분석이다.

제주연구원(원장 김동전) 고태호 연구위원은 ‘제주 인구소멸지수 변화와 정책적 시사점’ 연구를 통해 제주지역 인구와 인구소멸지수의 추이 및 전망을 분석하고 향후 제주지역의 지속적인 성장을 위한 인구정책 대안을 모색, 제시해 관심을 끌고 있다.

▲ 2020~2040년 전국 인구피라미드 변화

제주지역 인구는 전국적인 저출산·고령화 현상에도 불구하고, 지난 2010년 이후 급속히 증가한 사회적 증가 인구(전입인구-전출인구 ; 순이동인구)로 인해 지속적인 증가세를 보이고 있다는 분석이다.

지난 2008~2017년간 연평균 1.8% 증가하여 전국 평균 0.5%에 비해 큰 폭으로 증가했다는 것.

제주지역의 자연 증가 인구(출생아 수-사망자 수)는 최근 10년간 연평균 –8.1%로 지속적으로 감소세를 보이고 있는 반면, 사회적 증가 인구(전입인구-전출인구)는 2010년 이후 순유입으로 전환된 이후 연평균 34.7%(2010~2017년간)나 증가했다는 분석이다.

고태호 연구위원은 “이같은 제주지역으로의 순이동인구 증가는 제주지역 내 20~39세 사이의 청년층 비중을 높여 제주지역의 인구소멸 위험을 해소하는 데 기여하고 있다”고 밝혔다.

지난 2017년 기준 제주지역 순이동인구(14,005명) 중 20~39세에 해당하는 인구는 전체 34.1%(4,776명)를 차지하고 있기 때문이다.

제주지역 인구소멸위험지수 추이 분석 결과, 제주지역으로의 순이동인구가 증가하는 2010년 이후 인구소멸위험 증가세가 점차 둔화된 것으로 나타났다.

지난 2017년 기준 제주지역 인구소멸위험지수는 0.864로, 현재 인구소멸 위험 주의단계에 해당하나 특·광역시 및 경기도를 제외하고 가장 높은(인구소멸위험이 가장 낮은) 수준으로 전국 17개 시·도 중 9위를 차지하고 있다는 것.

그러나 2018년 4월 이후 제주지역 청년층 인구의 전출 증가에 따라 제주지역으로의 순이동인구 증가세가 둔화되고 있다고 지적했다.

2017년 기준 제주지역 순이동인구는 월 평균 1,165명이었으나, 2018년 4월 이후 월 평균 894명 수준으로 감소했다는 것이다.

올 4월 이후 제주도로의 전입인구는 일정 수준 유지되는 반면 전출인구의 증가세가 상대적으로 크게 나타나고 있으며, 특히 청년층에 해당하는 25~29세와 35~39세의 전출인구 증가분이 가장 크게 나타나고 있다는 우려를 나타냈다.

고태호 연구위원은 “자연 증가 인구가 지속적으로 감소하고 있는 제주지역에서 순이동인구의 감소, 특히 청년층 인구 전출 증가는 향후 급속한 고령화와 함께 제주지역의 인구소멸 위험을 높이는데 영향을 미치게 될 것으로 예상된다”고 밝혔다.

제주지역은 타 연령층에 비해 노년인구(65세 이상)의 증가세가 두드러질 것으로 전망되고 있어, 전국 평균과 비교하여 상대적으로 빠르게 항아리형 인구 구조로 변화할 것으로 예측된다는 얘기다.

고 연구위원은 “이러한 차원에서 이번 연구에서는 20~30대 청년층의 전출인구를 줄이기 위한 방안으로 일자리, 문화, 주거 관련 정책 대안”을 제시했다.

“먼저 일자리와 관련해서는 제주지역 청년의 수요를 반영, 상대적으로 사회적 평가가 양호한 공공부문에서 청년 수요에 맞는 일자리 경험을 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시스템으로 민선 7기에서 도입하고자 하는 「더 큰 내일센터」를 효율적으로 추진할 필요성이 있다”고 제안했다.

“다음으로 문화와 관련해서는 청년의 수요에 부합하는 문화서비스의 향유 기회를 확대할 수 있도록 현재 제주지역균형발전지원센터에서 추진 중인 ‘문화중개소 사업’의 내용적·공간적 범위를 확대할 필요가 있다”고 강조했다.

마지막으로 “청년층의 주거와 관련해서는 현재 추진 중인 주택 임차료 지원 및 행복주택 사업과 같은 정책사업의 규모를 지속적으로 확대할 필요가 있다”고 밝혔다.

 

2008~2017년 기준 시․도별 인구소멸지수 분석 결과

구분

2008

2009

2010

2011

2012

2013

2014

2015

2016

2017

전국

1.509

1.423

1.344

1.275

1.199

1.130

1.070

1.022

0.984

0.927

서울

2.001

1.867

1.709

1.600

1.482

1.381

1.300

1.231

1.182

1.114

부산

1.474

1.359

1.261

1.179

1.090

1.008

0.941

0.889

0.842

0.782

대구

1.627

1.515

1.420

1.338

1.237

1.141

1.062

1.004

0.955

0.893

인천

1.970

1.855

1.746

1.660

1.566

1.479

1.396

1.324

1.275

1.186

광주

1.927

1.815

1.704

1.607

1.490

1.396

1.305

1.234

1.172

1.100

대전

2.016

1.875

1.770

1.678

1.574

1.471

1.374

1.282

1.223

1.142

울산

2.435

2.262

2.116

1.990

1.854

1.722

1.610

1.507

1.413

1.289

세종

 

0.846

0.883

1.126

1.420

1.515

1.563

경기

1.988

1.871

1.770

1.669

1.569

1.479

1.399

1.332

1.286

1.205

강원

0.945

0.890

0.837

0.796

0.753

0.713

0.679

0.656

0.639

0.600

충북

1.115

1.056

1.013

0.976

0.935

0.889

0.850

0.821

0.795

0.749

충남

0.937

0.904

0.884

0.859

0.834

0.799

0.764

0.736

0.715

0.687

전북

0.901

0.863

0.828

0.791

0.745

0.706

0.671

0.641

0.619

0.588

전남

0.672

0.645

0.618

0.594

0.566

0.544

0.524

0.513

0.498

0.479

경북

0.886

0.838

0.807

0.781

0.740

0.698

0.661

0.633

0.605

0.566

경남

1.260

1.198

1.144

1.090

1.030

0.968

0.917

0.876

0.837

0.785

제주

1.246

1.164

1.091

1.024

0.967

0.928

0.911

0.895

0.885

0.864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0 / 40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주요기사
이슈포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