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주 심해, 한반도 미기록종 15종 발굴
상태바
제주 심해, 한반도 미기록종 15종 발굴
  • 고현준 기자
  • 승인 2012.07.19 16:48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환경부 국립생물자원관, 국내 최초 제주 수심 60m 심해잠수 탐사

 

▲ Gonodactylus_chiragra

우리나라 생물자원의 중추 연구기관인 국립생물자원관이 국내 최초로 심해잠수기술을 이용해 제주 남단 수심 60m까지 탐사한 결과, 한반도 미기록 생물종 15종을 발굴하는 성과를 올렸다.


19일 환경부 국립생물자원관(관장 안연순, 이하 ‘자원관’)은 지난 2011년 11월부터 2012년 5월까지 실시한 ‘특수잠수기술을 이용한 미탐사 지역의 생물자원 조사·발굴(연구책임자 김사흥)’을 통해 갯가재류 1종, 십각류 14종 등 15종의 한반도 미기록종을 발굴했다고 밝혔다.

▲ Uroptychus_joloensis.

이번 탐사결과 발견된 한반도 미기록종은 공생생물 11종과 저서생물 4종 등 총 15종이며, 미기록속 3종과 미기록과 1종을 포함하고 있어 이들 서식처의 생물상이 낮은 수심과는 다른 것으로 파악됐다.


한편 발견된 미기록종 중 공생성 무척추동물은 집게류 2종과 새우류 8종, 게류 1종 등 11종이며, 갯가재류 1종과 새우류 3종 등 4종은 바닥의 돌이나 부착생물 주변에 서식하는 종으로 확인됐다.


이번 발견으로 이종 생물의 공진화를 확인할 수 있는 종 특이적(species-specific) 연구자료를 확보할 수 있었다는 분석이며 이를 통해 종간 연관관계 연구를 발전시킬 수 있을 것으로 전망된다.

▲ Allogalathea_elegans

특히, 이중 집게류인 알로갈라테아 엘레강스(Allogalathea elegans) 새우류인 폰토이데스 안케리(Pontoides ankeri)와 오돈토조나 엔시세라(Odontozona ensifera)는 한국미기록속이며 게류인 쿼드렐라 코로나타(Quadrella coronata)는 한국미기록과인 트라페지데(Trapeziidae)로 확인됐다.


아울러, 미기록속·미기록과 등 희귀종이 다수 발견된 것은 수심 30m 이상의 지역이 태양의 영향이 작고, 연중 10~15℃로 수온이 일정하며, 태풍 등 물리적 영향이 적어 수심이 낮은 곳과는 서식처 환경과 생물상이 다르기 때문인 것으로 파악됐다.

▲ Pontoides_ankeri

공진화란 여러 종이 서로 영향을 주고받으며 진화해 가는 것을 말한다.


특히, 이번 탐사는 그 동안 산업, 군사 분야 등 특수목적 용도로만 이용돼 오던 트라이믹스 심해잠수기술을 국내최초로 연구 분야에 이용, 제주바다 수심 60m까지의 탐사를 성공적으로 마쳤다.


이를 통해 자원관은 기존의 잠수기술로는 조사가 불가능해 미탐사 지역으로 남아있던 수심 30m 이상 지역을 탐사함으로써 새로운 생물자원 발굴·조사의 가능성을 높였다는 것.

▲ Manipontonia_psamathe

수생생물은 수온과 햇빛 등 서식조건에 따라 대부분 수심 100m이내에 주로 서식하고 있으나, 잠수기술의 한계로 인해 수심 30m 이상의 지역은 어선의 그물을 이용한 간접조사*에 의존해왔다.

또한 수심 30m 이하의 지역은 일반적인 잠수를 통해, 수백 미터(m)이상의 지역은 잠수정을 통해 활발한 연구가 진행되고 있으나, 중간지역인 30~200m 지점의 경우는 연구가 거의 이뤄지지 못했다.

한편 심해란 해양학에서 200m이상, 잠수협회에서는 40m 이상의 수심을 말한다.

▲ Periclimene

또 트라이믹스(Trimix) 잠수는 일반 공기가 아닌 산소, 헬륨, 질소의 세 가지 혼합기체를 사용해 수심 100미터 이상 잠수할 수 있는 잠수기술이다.


대부분의 수생생물은 바위에 부착하거나, 부착생물 표본, 바위틈에 서식하고 있어 그물을 이용한 조사로는 채집이 불가능해 간접조사에 의존하는 실정.


자원관은 이번에 발견한 미기록종을 논문을 통해 학계의 검증을 거친 뒤 국가생물종목록 등재를 추진할 예정이며 확증표본은 자원관에 소장, 보관될 예정이다.

 

▲ Odontonia_katoi

또한, 이번 탐사를 통해 수심 30m 이상의 생물다양성 연구를 위한 접근이 가능해짐에 따라 향후 신종/미기록 생물종 발굴가능성 향상과 함께 생물다양성에 대한 새로운 정보를 축적할 수 있을 것으로 예측된다고 밝혔다.


국립생물자원관 길현종 박사는 “이번 탐사는 생물이 가장 많이 서식하고 있으나 현재까지 미탐사 지역으로 남아있는 70% 지역의 직접 탐사를 통해 바다 생물다양성을 연구하기 위한 시도”라며 “앞으로 외해 도서 지역 등 지속적으로 조사범위를 확대해 나아갈 예정”이라고 밝혔다.
 

▲ Periclimenes

▲ Alpheus

▲ Athanas

 

▲ -Latreutes

▲ Odontozona_ensifera

▲ Quadrella_coronata

▲ 숙주생물 - 깃갯고사리류

▲ 숙주생물 - 등색관산호

▲ 숙주생물 - 잔가지해송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0 / 40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주요기사
이슈포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