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향토문화] 황민화(皇民化) 교육 반항..귀덕1리 애국지사 고태리 묘(이장) 터 
상태바
[향토문화] 황민화(皇民化) 교육 반항..귀덕1리 애국지사 고태리 묘(이장) 터 
  • 고영철(제주문화유산답사회장)
  • 승인 2023.03.26 07:49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고인의 공훈을 기리어 1995년에 건국훈장 애족장을 추서하였다.

귀덕1리 애국지사 고태리 묘(이장) 터 

위치 ; 한림읍 귀덕리 493-3번지.
시대 : 일제강점기
유형 : 무덤

고태리(독립운동)

 

귀덕1리_고태리지사묘

 

고태리(髙泰利) 지사는 1912년 9월 24일 한림읍 귀덕리 중동(中洞)에서 아버지 고창주 어머니 김여해의 4남 2녀중 4째 아들로 태어나, 구우공립보통학교(현 한림초등학교)를 졸업하고 1928년 4월 1일 제주농업학교(濟州農業學校=현 제주고)에 입학하여 공부에 열중하였다.

그러나 당시 일본인 교장은 한국 학생에게 민족적 열등감을 부추기는 한편 그에 대항하는 학생을 가차없이 퇴학시키는 등 만행을 서슴지 않았다.

1929년 11월 3일 전남 광주에서 일제에 저항하는 학생 운동이 거세게 폭발하여 1930년 한 해는 전국적으로 학생 운동이 파급되었다. 제주도에는 일제강점기 당시 중등학교로는 제주공립농업학교만이 있을 뿐이었다.

이 학교의 재학생들도 이런 분위기에 휩싸여 어수선한 분위기였다. 학생 중에 김원요ㆍ양두옥ㆍ신창진 등은 3학년이 된 후 평소 소위 일본 천황의 칙어(勅語)를 학교 의식 때에 봉송(奉誦)을 해도 전혀 묵도(黙禱)를 하지 않아 교사들로부터 주목받고 있었는데 1931년 3월 6일 졸업 사정회(査定會)에서 사상이 불순하다는 이유로 졸업 예정자 김원요(金源堯:21, 조천)를 제적(除籍) 처리하고 신창진(愼昌珍:18, 월정)과 양두옥(梁斗玉:18, 신창)에게 유급(留級) 조치를 내렸다.

동년 3월 7일 졸업식 날에 김원요는 교무실에 들어가 담임인 일본인 교사 야마가와(山川助夫)에게 부당한 조치에 강력히 저항하였다.

담임은 경찰에게 알리니 그를 체포하여 제주경찰서에 수감해 버렸다. 이를 알게 된 유급당한 동창 신창진과 양두옥은 동월 9일 교장실로 찾아가 교장 스기사키(杉崎勝藏)에게 유급 조치의 부당함을 항변하고 일본군 육군 소위이며 교사인 모리다(森田親厚)에게 일격을 가했다.

이어서 홍계표(洪季杓:21, 귀덕)는 교사 다카하시(高橋)와 야마가와(山川)에게 학우 김원요의 수감에 대해 부당함을 따질 때 교사 최계순(崔季淳)은 '선생에 대한 불손한 태도가 그러냐?'라고 문책했다.

이에 홍계표는 큰 소리로 외치자 이를 신호로 고태리(泰利:20, 귀덕), 양두옥, 고운석(高雲石:23, 조수), 현도선(玄道善:21, 하도), 김두진(金斗珍:20, 두모), 신찬익(申璨翊:20, 대림) 등은 일제히 교무실로 들어가 모든 공공기물을 집어던지며 또 양치삼(梁致三:21, 대림) 등은 교장실로 들어가 닥치는 대로 박살내었다.

또한 이들은 식민지교육 철폐, 민족차별 반대, 구속된 선배 석방 등을 요구하는 격문을 곳곳에 붙였다. 뒤 이어 전교생이 궐기했다.

이는 일본인에 대한 적개심과 학교 당국의 황민화(皇民化) 교육에 대한 반항심의 발로였다. 그들은 3월 9일 일본 경찰에 의해 모두 체포되어 1931년 8월 29일 광주지법 목포지청 검사분국으로 송치하였다.

이른 바 폭력 행위 처벌에 관한 법률 위반으로 징역 1년형을 선고받아 항소하니 1932년 3월 1일 대구복심법원에서 징역 1년에 집행 유예 5년을 선고받아 미결 기간 약 1년 동안 옥고를 치렀다.

졸업식이 끝나고 일어난 일이라서 졸업은 인정된 상태였으나 김원요, 양두옥, 신창진은 끝내 졸업장을 받지 못하였다.

고태리 지사는 석방되었으나 모진 고문의 여독으로 말미암아 의식불명인 채 출옥 후 한 달만인 1932년 4월 9일 순국하였다. 지사께서 순국하시자 혼인한 지 얼마 되지 않았던 부인 조신생 여사도 울화증으로 시달리다가 4년 뒤 영면하였다.

정부에서는 고인의 공훈을 기리어 1995년에 건국훈장 애족장을 추서하였다.

현충원 홈페이지에는 대전 유성구 갑동 대전현충원 애국지사 4묘역-472에 2012년 4월 6일에 애국지사 고태리의 묘가 안장되었다고 되어 있어 여기 있는 묘는 가묘로 추정된다.(비문 내용, 제주도청 홈페이지, 한국학중앙연구원, 제주고씨 홈페이지, 귀덕리사무소의 안내판, 현충원 홈페이지)
《작성 160206》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0 / 40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주요기사
이슈포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