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제역과의 전쟁’ 116일 만에 ‘끝’
상태바
‘구제역과의 전쟁’ 116일 만에 ‘끝’
  • 제주환경일보
  • 승인 2011.03.29 21:52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제기된 문제점과 반성해야 할 점은


3월 24일 ‘가축질병 방역체계 개선 및 축산업 선진화’ 방안이 발표되면서 사실상 구제역 종식이 선언됐다. 지난해 11월 28일 경북 안동에서 신고된 의심축에 대한 구제역 양성판정 이후 1백16일만이다.

정부가 축산업 선진화 방안을 추진하게 된 것은 이번 구제역 확산 원인분석을 통해 우리의 문제점을 객관적으로 진단한 결과에 따른 것이다. 정부는 이번 구제역의 전국 확산 원인에 대해 다음과 같이 분석했다.

첫째, 증상이 나타나지 않는 구제역 바이러스 잠복기간(2주) 중 경북 안동에서 경기 파주로 전파되고, 다시 경기도와 강원도로 확산됐다. 둘째, 경북에서 최초 구제역 의심신고가 접수됐을 때 초기 판단착오로 5일간 차단방역이 지연됐다. 셋째, 지난겨울 유례없는 강추위로 바이러스의 생존기간이 길어졌고 소독 등 방역효과는 저하됐다. 넷째, 구조적인 문제로 가축질병에 대한 방역체계가 미흡했고, 밀식사육 등 축산업 환경이 열악하여 질병에 취약한 구조였다.

이 같은 원인분석에 따라 문제점과 반성해야 할 점들이 제기됐다.

공무원 등 연인원 1백97만명 방역ㆍ매몰에 동원

우선 발생 초기에 강력한 초동대응체계가 미흡했다는 점이 지적됐다. 우리나라의 위기경보 단계는 ‘관심→주의→경계→심각’의 4단계로, 구제역이 최초 발생했을 때 ‘주의’ 경보가 발령된다. 반면 영국의 경우 발생 즉시 최고 경보 단계인 ‘Red’가 발령된다.

농장을 출입하는 사람과 차량, 물품에 대해 실효성 있는 차단이 이루어지지 못했던 것도 또 다른 문제점으로 지적됐다.

이와 함께 구제역이 전국으로 확산되는 상황이 처음이었기 때문에 대응 시나리오가 미흡했고, 특히 백신접종에 대한 매뉴얼이 부족한 점도 지적됐다.

국내에서 다섯번째, 전국적인 규모로는 처음인 이번 구제역은 달갑지 않은 기록들도 남겼다. 첫 구제역 발생 이후 지금까지 전국 11개 시도의 75개 군에서 1백50건이 발생했다.

전국적인 백신접종 전까지는 예방차원에서 매몰처분이 이뤄져 전국 12개 시도의 81개 군에서 가축이 매몰처리됐다. 6천2백50개 농가에서 총 3백47만9천5백13마리가 땅에 묻혔다. 가축별로 ▲소 15만8백71마리 ▲돼지 3백31만7천8백64마리 ▲염소 7천5백35마리 ▲사슴 3천2백43마리 등이 매몰처리됐다. 지금도 전국 85개소의 가축 시장이 폐쇄돼 있고 7백95개의 이동통제 초소가 설치돼 일부 지역의 가축이동을 제한하고 있다.

매몰처리와 구제역 확산을 막기 위해 동원된 인원과 장비도 막대하다. 공무원 48만9천1백40명을 비롯해 군인·경찰·소방공무원·민간인 등 연인원 1백97만4천55명이 지난 겨울 내내 구제역과의 전쟁을 치렀다. 이 과정에서 공무원 8명이 목숨을 잃었다. 굴착기도 1만7천9백98대가 동원됐다. 재정 소요도 엄청나 매몰보상비 1조8천억원을 비롯해 3조원 가까이 투입됐다.

유정복 농림수산식품부 장관은 축산업 선진화 방안을 발표하는 자리에서 “앞으로 10년을 내다보고 국민에게 사랑받는 선진 축산업, 친환경 축산업을 일구어 나갈 것”이라고 밝혔다.



(출처=위클리공감)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0 / 40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주요기사
이슈포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