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향토문화] 1944년 5월 준공..용담2동 제주국제공항(정드르비행장,일본육군서비행장)
상태바
[향토문화] 1944년 5월 준공..용담2동 제주국제공항(정드르비행장,일본육군서비행장)
  • 고영철(제주문화유산답사회장)
  • 승인 2023.02.03 00:30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정드르비행장이란 이름은 당시 지역 주민들이 비행장 부지를 정드르라고 한 데서 연유한다.

용담2동 제주국제공항(정드르비행장,일본육군서비행장)

 

위치 ; 제주시 용담2동 2002번지 및 도두동 일대
시대 ; 일제강점기(1942년~1944)
유형 ; 비행장(전쟁유적)
길이 ; 1,800m×300m 및 1,500m×200m

용담2동_제주공항활주로

 

용담2동_제주국제공항

 

정드르비행장은 당시 제주읍에 있었던 일본 육군 서비행장을 일컫는다. 정드르비행장이란 이름은 당시의 지역 주민들이 비행장 부지를 정드르라고 한 데서 연유한다.

일제강점기 제주도에 들어선 정드르비행장과 교래리비행장, 알드르비행장, 진드르비행장들은 1944년 말부터 1945년 초까지도 일본 본토 작전 비행 부대의 후방 기지나 일본과 대륙 간 항공로의 연접 기지로서의 기능이 강하였다.

그러나 1945년 5월 15일 중국에서 제5항공군이 전용되어 온 이후 일본 본토 결전에 대비한 본격적 작전 준비 기능으로 전환되면서 기지 정비가 이루어졌다.

정드르비행장은 1942년부터 건설되기 시작하여 1944년 5월 준공되었다. 비행장 공사에는 제주 주민들이 대대적으로 동원되어 은폐와 엄폐, 활주로 공사 등의 작업에 투입되었다.

필자의 선친은 회천에 살면서 봉개초등학교에 다녔는데 2학년 때 정드르비행장까지 30㎝×30㎝ 되는 잔디 2장을 짊어지고 가서 공출하였다고 한다.

1945년 7월 말부터 8월 초에는 일본군 제96사단 병력이 경비를 맡았다. 대형 비행기의 이착륙이 가능하도록 1,800m×300m와 1,500m×200m 등 2개의 활주로를 만들었다. 1945년 8월 일본이 패망하면서 미군이 공항을 인수하였다.

1946년 1월에 민간비행장이 되어 1948년 5월 민간항공기가 취항하기 시작하였고, 1948년에 미 군정청 항공 수송용 C-47기를 서울~광주~제주 간 주 2회 운항하였다.

제주공항에 정기항공노선이 개설된 것은 1948년 10월 30일 현재 대한항공의 전신인 대한국민항공사가 교통부로부터 국내선 정기노선 면허를 받고 1949년 2월 1일부터 서울-부산-제주에 스틴슨기[5인승]가 취항하면서부터이다.

한국전쟁으로 스틴슨기 3대 모두 공군에 징발되면서 폐쇄되었다가 1958년 1월 제주비행장으로 정식 설립되어 1962년부터 국내선이 정기 운항되었다.

KNA는 1955년 1월 주 2회 정기항공노선을 부활시켰고, 차츰 이용자가 증가하면서 1957년 1월에는 주 4회 증편 운항하였다.

그러나 KNA는 해마다 적자가 누적되어 1962년 4월 25일 국세 5백 만환을 체납, DC-3기 3대를 세무당국으로부터 압류당하고 같은 해 11월 27일에는 교통부가 항공운송사업면허를 취소함으로써 11월 30일부터 항공기 운항이 중단되었다.

1962년 6월 13일 설립된 대한항공공사는 KNA가 보유했던 항공기를 인수, 같은 해 12월 2일부터 국내 6개 노선에 운항이 시작하였다.

대한 항공 공사는 제주~서울노선에 주 5회 운항했고, 1963년부터는 주 7회로 매일 1회씩 운항하기 시작하였다. 한·일 항공 협정이 체결된 후 제주-오사카 간 항로가 신설됨에 따라 1968년 4월에 국제공항으로 승격되었다.

현재는 정드르비행장을 포함해 350만㎡ 부지에 동-서로 길이 3,180m의 활주로 1본과 남-북으로 길이 1,910m의 활주로 1본이 교차 설치되어 있으며, 연간 항공기 처리능력은 17만2천 회이다.

제주국제공항이 제주의 관문으로서 내방객들을 맞이하고 있다. 2013년에 연간 이용객 수가 2천만 명을 넘어섰으며, 대한민국에서 인천국제공항 다음으로 이용객이 많은 공항이다.

정드르비행장은 전쟁을 수행하기 위한 목적으로 건설된 일본군 시설이었지만 정드르비행장과 관련한 기록이나 관련 시설들은 정드르비행장이 제주국제공항으로 확충되는 과정에서 사라졌다.

비록 당시의 유적들은 없어졌지만 비행장이란 동일한 기능을 이어가고 있는 점에서 과거와의 연속성을 가진다. 또한 동일한 시설일지라도 목적에 따라 악이 되기도 하고 선이 되기도 한다는 점을 일깨워준다.
(디지털제주시문화대전 집필자 강순원, 황경수, 위키백과, 나무위키, 다음백과사전)
《작성 150819》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0 / 40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주요기사
이슈포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