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향토문화] 바위 깨고 구축한 교통호 형식..영락리 목저문여덕 일본군해안참호②
상태바
[향토문화] 바위 깨고 구축한 교통호 형식..영락리 목저문여덕 일본군해안참호②
  • 고영철(제주문화유산답사회장)
  • 승인 2023.06.04 07:23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제주섬을 요새화하는데 얼마나 혈안이 돼 있었는지를 극명히 보여주는 유적

영락리 목저문여덕 일본군해안참호②

위치 : 대정읍 영락리 1568번지의 바닷가. 속칭 목저문여덕. 쉼터(파고라) 옆으로 내려가서 밀물 때는 섬처럼 격리되고 썰물 때 건너갈 수 있는 곳에 있음.
시대 : 일제강점기
유형 : 방어유적(참호)

 

영락리_목저문여덕해안참호

 

태평양전쟁 말기 제주주둔 일본군들은 바닷가에도 참호를 구축하였다. 바위를 깨고 구축한 교통호 형식의 참호진지이다.

지역민들 사이에서는 속칭 '목저문여덕'이라 불리는 이곳은 썰물 때는 걸어서 갈 수 있지만 밀물 때는 하나의 섬이 되기도 한다. 면적은 약 250㎡ 안팎으로 주변에 해산물이 많아 해녀들의 생활터전이기도 하다.

일본군은 이곳에 검은 현무암 암반을 깨고 길이 10m 정도의 긴 도랑처럼 진지를 만들었다. 규모는 폭이 70cm에서 160cm, 높이는 대략 1m 안팎으로 동동남에서 서서북 방향으로 나 있다. 현무암 바닥에는 바위를 뚫은 흔적인 착암기 구멍(직경 7.0cm) 10곳이 생생하다. 또 시멘트 흔적도 볼 수 있다.

일본군들이 돈두미오름에 갱도를 구축하는 시기에 '목저문여덕'의 진지도 만들었다고 한다. 바다와 직접 맞닿아 있는 이곳은 제주 남서해상으로 왕래하는 선박의 감시가 용이한 곳이다. 이러한 지리적 이점이 일본군이 해안가 둔덕에 진지를 만든 이유이기도 하다.

'목저문여덕'에서는 또 일본군이 패전 뒤 기뢰폭발로 암반이 떨어져나간 곳도 확인됐다. 광복 후 3~4년 정도 지난 뒤에 기뢰(혹은 어뢰)가 이곳 해안까지 흘러와 폭발했다고 한다.

당시 일본군은 제주 서남해안으로 미군의 상륙을 저지하기 위해 바다까지 온통 기뢰를 깔아놓았었다. 즉 1945년 7월 20일 무렵 일본군은 마라도를 중심으로 반경 20㎞ 지역에 기뢰 1천2백개를 부설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이곳까지 파도를 타고 흘러들어와 폭발한 기뢰는 이와 관련된 것으로 추정된다.

돈두미오름과 '목저문여덕' 일대 일본군은 어떤 부대일까? 이와 관련해서는 돈두미오름과 인접한 녹남봉을 주목할 필요가 있다. 대정읍 신도1리 녹남봉은 제주섬 최서단의 '전진거점진지'로 구축되었다.

이곳에는 일본군 제111사단 산하 243연대본부인 가마오름에서 파견나온 부대가 갱도 등을 구축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병력은 1개 소대 정도였다고 마을 사람들은 당시 상황을 증언했다.

이로 볼 때 돈두미오름 역시 가마오름에서 파견된 일본군이 주둔했고, 병력도 비슷한 규모였던 것으로 보인다. 이러한 추정은 영락리 주민들의 증언에서도 뒷받침된다.

즉 가마오름에서 파견된 일본군은 돈두미오름에 갱도진지를 구축하는 한편 이 곳과 불과 직선거리로 3백미터 정도인 '목저문여덕'에도 참호를 만들고 미군의 상륙에 대비했다는 것이다.

영락리 해안의 '목저문여덕' 진지는 일본군이 제주도민을 볼모로 일본토사수를 위해 제주섬을 요새화하는데 얼마나 혈안이 돼 있었는지를 극명히 보여주는 유적이다.(한라일보 061130)
《작성 160818》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0 / 40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주요기사
이슈포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