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I ‘무차별 살처분’이제는 중단해야”
상태바
“AI ‘무차별 살처분’이제는 중단해야”
  • 김태홍 기자
  • 승인 2017.06.06 22:19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전문가들, ‘한국은 세계 최대 살처분 국가됐다’지적
’새로운 백신정책 추진해야’

 
고병원성 조류인플루엔자(AI)에 대해 더 이상 살처분 중심의 방역정책은 한계가 있다는 지적이다.

제주도는 6일 최근 AI발생으로 제주시 애월읍·조천읍 소재 농가 육계 117,000마리에 대해서 예방적 살처분을 하기로 했다고 밝혔다.

도는 이날 제주도청 소속 공무원들을 동원해 애월읍 광령·고성리 65,000마리, 제주시 소속 공무원 경우 조천읍 조천리 52,000에 대해 살처분 현장 작업에 나섰다.

또 제주도 축산진흥원도 반경 3킬로미터 안에 AI 양성반응 농가가 있는 것으로 확인됨에 따라 사육 중이던 재래닭 600마리를 모두 살처분하기로 했다.제주 재래닭은 2천년 전 동남아시아에서 유입된 뒤 순수혈통을 유지해왔고 축산진흥원은 1986년부터 사육하면서 천연기념물 지정을 추진해왔다.

살처분은 닭 등을 생포하여 비닐속에 담아 CO2 가스를 주입 후 살처분 하는 방식이다.

이렇듯 대량 살처분으로 한국은 세계 최대의 살처분 실시 국가가 됐다는 비난을 받고 있다.

특히 3km안에 있다는 이유로 건강하게 살 수 있는 닭들을 그저 불량식품 싹쓸이 하듯, 쓰레기 버리듯 처분해서는 안 된다는 지적이다.

동물을 물건처럼 다뤘던 정부의 공장식 축산방식으로 지금의 재앙이 벌어지고 있다는 것.

그럼에도 정부는 축산과 방역에 대한 전면적 산업 개편과 패러다임의 전환은 뒤로 미룬 채 무의미한 살육, 무의미한 보상금 지출로 인한 세금 낭비만 하는 구조적 모순을 반복해왔으며, 이 과정에서 농민들만 피해를 보고 있다는 비판을 받고 있다.

외국은 3km내 예방적 살처분 대신에 사람이나 사료 차량의 이동제한이나 금지 등 차단방역을 강화하여 확산을 효과적으로 방지하고 있다.

이에 대해 전문가들도 “이제는 더 강력한 예찰·초동 대응 체계를 갖춰야 할 시점”이라며, “이제는 한국에서도 새로운 백신정책을 추진해야 한다”는 주장이다.

그러면서 “선진국의 사례를 볼 때, 충분한 방어력을 가진 상업용 백신 후보군이 이미 개발됐다. 살처분 정책의 보완책으로 긴급백신을 도입, 바이러스의 증식과 배출속도를 완화·감소시킬 필요가 있다”는 것이다

특히 “AI 등 동물질병은 축산업의 지나친 규모화, 산업화, 대형화에 주요원인이 있다”며, “이제 지속가능한 축산을 위해 동물복지 차원에서 축산 프레임을 변경할 필요가 있다. 농가당 가축사육 총량제 도입, 감금틀 사육 폐지, 사육농가 거리제한제 도입, 계열화 기업의 방역책임강화, 겨울철 가금산업 휴업보상제를 도입해야 한다”는 것이다.

따라서 “그간 행해져왔던 ‘예방적 살처분’의 중단과 인도적 살처분이 동시에 이뤄져야 한다”고 주장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0 / 40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주요기사
이슈포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