독도 토양조사 완료…‘독도통’ 명명
상태바
독도 토양조사 완료…‘독도통’ 명명
  • 제주환경일보
  • 승인 2011.04.25 17:49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농진청, 울릉도의 토양과 달라 새 이름 붙여


농촌진흥청은 독도에 대한 토양조사결과, 울릉도의 토양과는 다른 독특한 토양구조로 이뤄진 것으로 밝혀져 ‘독도통’이라는 새 이름을 붙였다고 밝혔다.

토양통이란 토양의 분류단위로써 토양의 종류에 따라 구별하기 쉽도록 토양에 이름을 붙인 것이다.

농촌진흥청은 우리나라 토지의 합리적 이용과 농작물의 생산성을 향상시키기 위해 1964년부터 1999년까지 전 국토에 대해 토양조사를 실시해 토양이름을 붙여오고 있다.

1970년대 농진청이 조사한 울릉도의 토양 종류는 초봉통, 사동통, 남양통 등 13개 토양통으로 분류됐고, 독도는 울릉도와 인접해 있어 정밀토양조사 없이 울릉도와 같은 ‘초봉통’으로 분류해 왔다.

1999년까지 내륙지역의 토양조사를 완료한 농촌진흥청은 2000년부터 우리나라 영토인 도서벽지의 작은 섬까지 세부정밀토양조사사업에 착수했으며, 그 일환으로 2009년에 독도의 토양조사를 실시했다.

독도에 대한 토양조사 결과, 기존에 울릉도 토양과 같을 것으로 추정해 분류했던 ‘초봉통’과는 토양특징이 다르게 나타나 ‘독도통’이란 고유의 토양이름을 새롭게 부여했다.

지금까지 우리나라에서 밝혀진 토양통은 390개이며, 이번에 독도의 토양이름이 ‘독도통’으로 명명됨에 따라 391번째로 등재됐다.

토양조사 결과에 따르면, 독도 토양은 화산암의 일종인 조면안산암, 조면암, 유문암 등의 풍화로 만들어진 사양질의 토양이며, 작물이 자랄 수 있는 토양층은 평균 20cm 미만으로 조사됐다.

토양단면을 보면, 겉흙에서 15cm까지는 짙은 암갈색의 바위가 많은 사양토이고 둥근 형태의 구조로 돼 있으며, 15cm 이하 하부 토양은 암갈색의 자갈이 있는 사양토로 나타났다.

특히 일반적인 토양은 50~100cm의 토심에 표토(용탈층), 심토(집적층), 암반(모재층 및 암반층) 3개 층으로 구성된 반면, 독도 토양구조는 얕은 토심에 표토와 암반의 2개 층으로 이루어져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독도토양의 특성을 밝힌 학술적 성과를 일본, 중국 등 10여개국가 토양학자들이 참여한 동남아시아토양연합(ESAFS) 국제학술대회에 발표했으며, 올해는 한국토양비료학회지에 논문으로 투고했다.

농촌진흥청은 이번 독도 토양조사 결과를 바탕으로 독도의 토양정보를 한눈에 볼 수 있는 세부정밀토양도를 제작해 토양환경정보시스템인 ‘흙토람(soil.rda.go.kr)’을 통해 서비스할 계획이다.

또한 독도의 토양과 바람에 잘 적응할 수 있는 야생화와 약초를 선발하는 작업을 추진하는 한편, 이들 식물이 잘 서식할 수 있도록 토양을 개량하는 연구 등을 추진할 계획이다.

농촌진흥청 토양비료관리과 손연규 박사는 “이번 독도토양에 대한 독도통 명칭 부여는 독도가 다시 한 번 우리 땅임을 확인하는 것”이라며, “우리나라 도서지역에 있는 작은 섬 하나라도 빠지지 않고 토양정밀조사를 실시해 나갈 계획”이라고 말했다.

정광용 한국토양비료학회 회장은 “독도 토양조사 결과는 학술적으로나 국토종합관리 측면에서 매우 귀중한 성과”라며, “농촌진흥청의 조사를 통해 독도는 울릉도와 같은 토양특성을 갖고 있음이 확인됐고, 우리나라 391번째 토양 이름인 ‘독도통’으로 국내외에 학술정보를 제공할 수 있게 됐다”고 말했다.

또 “자국 영토에 대한 토양조사는 모든 주권국가의 책임과 권리이며, 이번에 독도를 포함한 토양조사 정보를 세계 최초 5000분의 1 축적으로 정밀하게 서비스할 수 있게 된 점은 고무적”이라고 말했다.

(출처=농촌진흥청)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0 / 40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주요기사
이슈포토